카카오도 삼성처럼…김범수의 경영쇄신안 ‘외부 준법감시기구’

  • 뉴시스
  • 입력 2023년 10월 30일 17시 54분


코멘트

김범수·공동체 CEO 비상 경영회의…준법 경영 실태 점검 기구 마련키로
신사업·대규모 투자도 외부 감시…매주 월요일 공동체 CEO 경영회의 열기로

SM엔터테인먼트(SM) 시세조종 혐의로 사법 리스크에 직면한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외부 통제 강화를 통한 경영 체제 쇄신에 착수했다. 신사업이나 대규모 투자 진행 시 외부 인력으로 구성된 준법 감시 기구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30일 카카오에 따르면 김범수 센터장은 홍은택 카카오 대표를 비롯한 공동체 최고경영자(CEO) 등 20명과 경영회의를 갖고 카카오의 경영 체계 자체를 일신하기 위한 변화의 방향을 논의한 결과 준법 경영 실태 점검 기구를 마련하기로 했다.

준법 경영 실태 점검 기구 마련 시 카카오는 신사업이나 대규모 투자를 진행할 경우 사회적 영향에 대한 외부의 평가를 받게 된다. 기업이 경영을 넘어 신사업, 투자까지 외부 통제를 받아들이는 것은 그만큼 경영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카카오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아직 구체적인 조직 형태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삼성처럼 외부 위원들로 구성된 별도 준법감시 기구를 두는 형태가 예상된다.

국내 대기업 최초로 내부 준법경영 조직을 넘어 외부에 별도 준법감시 기구를 둔 곳은 삼성이다. 삼성은 2020년 2월 독립적 권한을 부여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를 출범시켜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SDS,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7개 계열사의 준법 의무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있다.

김범수 센터장은 “최근 상황을 겪으며 나부터 부족했던 부분을 반성하고, 더 강화된 내외부의 준법 경영 및 통제 시스템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우리가 지금 어떤 일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해 공동체 전반의 고민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센터장을 포함해 공동체 경영진들이 모두 모여 경영회의를 개최한 것은 이례적이다. 그만큼 카카오 경영진은 현상황을 최고 비상 경영 단계로 인식하고 있다. SM 인수 과정에서 불거진 경영진 SM 시세조종 혐의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특사경)은 지난 26일 배재현 카카오 공동체 투자총괄 대표와 카카오 투자전략실장 강모씨, 카카오엔터 투자전략부문장 이모씨, 카카오와 카카오엔터 법인 등 5인을 기소 의견으로 서울남부지검에 송치했다.

금감원은 검찰의 지휘를 받아 지난 3월부터 관련 사건을 수사해 왔다. 특사경은 이들 3명에게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등을 적용해 지난 13일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며, 이 중 배 대표만 “증거인멸 및 도망할 염려가 있다”며 구속됐다.

김범수 센터장도 사법처리 위기에 직면했다. 특사경은 지난 23일 오전 김 센터장을 소환해 자정을 넘기면서까지 고강도 조사를 했다.

김 센터장도 수사선상에 오르면서 카카오는 창사 이래 사상 초유의 위기를 맞고 있다. 구속된 배 대표가 맡고 있던 공동체 신사업 투자, M&A(인수합병), IPO(기업공개) 등은 잠시 중단됐다. 초거대 AI(인공지능) ‘칼로2.0’ 출시를 비롯한 신사업 출시 시기가 미뤄질 것이란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무엇보다 금감원이 SM 시세조종 의혹과 관련해 카카오 법인에 대한 기소의견을 검찰에 송치하면서 카카오가 카카오뱅크 지분을 매각해야 할 가능성도 나온다. 카카오가 벌금형 이상의 형사처벌을 받게 되면 금융당국은 ‘대주주 적격성 충족 명령’을 내리게 되고, 이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카카오는 27%가 넘는 카카오뱅크의 지분을 처분해야 한다.

인터넷은행 특례법에 따르면 대주주는 최근 5년간 조세범 처벌법,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공정거래법 등 위반으로 벌금형 이상 처벌을 받은 사실이 없어야 한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하고, 경영 체제 개편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 바 있다. 그동안 카카오는 문어발 경영 논란, 공동체 경영진들의 도덕적 해이, 지난해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카카오 서비스 먹통 등 잇따른 논란이 지속됐다.

이에 내부 통제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된 바 있다. 이에 지난달 중순에는 네이버 공동창업자인 김정호 베어베터 공동대표 겸 브라이언임팩트재단 이사장을 비롯해 총 3명의 임원을 CA협의체(공동체얼라이먼트센터)에 선임해 그룹 컨트롤 타워 조직을 보강하기도 했다.

카카오 측은 “공동체들의 자율 경영체제는 유지될 것”이라며 “매주 월요일 공동체 경영회의를 열고 구체적인 실천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