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축의금 얼마가 적당…“아는 사이 5만원 이하, 친하면 5~10만원”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10월 26일 13시 47분


코멘트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는 참고사진. 게티이미지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는 참고사진. 게티이미지
결혼식 축의금으로 얼마를 내는 것이 적당할까.

26일 KB국민카드가 고객 패널 ‘이지 토커’(The Easy Talker) 4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고객들은 ‘알고 지내는 사이’에는 평균 8만 원을, ‘친한 사이’에는 평균 17만 원을 낸다고 답했다.

‘알고 지내는 사이’에서 △5만 원 이하를 낸다는 응답은 53% △5만 원 초과 10만 원 이하를 낸다는 응답은 44% △10만 원 초과 20만 원 이하를 낸다는 응답은 2% △20만 원 초과를 낸다는 응답은 1%였다.

‘친한 사이’에서는 △5만 원 초과 10만 원 이하 52% △10만 원 초과 20만 원 이하 29% △20만 원 초과 30만 원 이하 13% △5만 원 이하 3% △30만 원 초과 3% 순이었다.

촌수를 기준으로는 3촌 이내 결혼식의 경우 축의금으로 △50만 원 초과 100만 원 이하 43% △30만 원 초과 50만 원 이하 27% 순으로 가장 많았다. 4촌 이상은 평균 26만 원을 낸다고 응답했다.

동반 하객 여부와 결혼식장 식대도 축의금 액수에 영향을 미쳤다. ‘결혼식장에 갈 때 동반자가 있으면 축의금을 더 낸다’는 답이 76%, ‘식사비가 비싼 곳이면 축의금을 더 낸다’는 답이 61%로 나타났다.

KB국민카드가 최근 1년 결혼식장에서 300만 원 이상 결제한 회원을 대상으로 해당 회원의 음식점·가구·가전 관련 업종 매출 및 해외 매출 등을 분석한 결과, 가구·가전 업종 매출은 결혼식 4~5개월 전부터 증가했다. 결혼식을 알리는 인사로 추정되는 음식점 업종 매출은 결혼식 2개월 전부터 눈에 띄게 증가했다.

월별 음식점 매출 비중은 결혼식 당월이 13%로 가장 높았다. 결혼식 1개월 전 10%, 2개월 전 9%로 결혼식과 가까울수록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올해 신혼여행지를 보면 해외 80%, 국내(제주 포함) 20%로 나타났다.

이혜원 동아닷컴 기자 hyew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