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실시간 사고 위험 경고하는 ‘스마트 안전장구’ 개발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안전경영]

LG유플러스는 기업 간 거래(B2B) 신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 안전 솔루션 사업을 하고 있다. 또 현대엘리베이터와 공동 개발한 ‘스마트 안전장구’를 필두로 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 기반의 영상 안전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LG유플러스는 높은 장소에서 작업이 많은 현대엘리베이터에 안전 솔루션을 보급하며 초기 판로를 개척했다. 이외에도 종합환경기업 등 중대재해처벌법에 대응하고자 하는 기업에 솔루션 보급을 확산해 나가고 있다.

먼저 영상안전 지게차 충돌방지 솔루션은 지게차 정면 하단에 부착돼 반경 10m 이내에서 객체가 있는 것이 확인되면 운전자와 작업자에게 알람을 제공한다. 사람 전체 체형을 파악해야 알람을 울리는 기존 상품들과 달리 LG유플러스 솔루션은 하반신(다리)만 확인되면 알람이 울린다.

영상안전 운전자 행동분석 솔루션은 장거리 운전 업무가 빈번한 업종에서 호평을 얻고 있다. 차량 대시보드 중앙에 설치된 솔루션 기기가 AI 기반으로 운전자의 표정과 행동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위험 신호를 감지한다. 짧은 시간 내에 여러 차례 하품을 하거나 집중력이 저하된 표정을 읽으면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보내 근로자가 스스로 컨디션 관리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스마트 바디캠은 작업 현장의 영상을 관제실로 실시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바디캠을 이용하면 관제실에서도 육안으로 상황을 인지하고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또 스마트 바디캠에는 GPS와 긴급 호출(SOS) 기능이 내장돼 있다. 1인 작업자가 SOS 버튼을 누르면 본사 관제실로 영상을 바로 송출해 작업자의 상황과 위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스마트 안전장구는 개발 단계부터 사용자의 편의성 극대화에 주안점을 뒀다. LG유플러스는 솔루션 출시 전 150여 명의 현대엘리베이터 현장 작업자를 대상으로 현장 실증을 실시해 의견 청취를 거쳐 상품을 완성했다. 스마트 안전모 센서는 작업자의 착용성을 고려해 경량화하는 동시에 내구성을 갖췄다. 스마트 안전고리 센서는 잦은 충전이 어려운 작업 환경을 고려해 스마트 안전고리 센서 배터리 교체 주기를 270일로 늘렸다. 스마트 안전고리는 작업자가 보유한 안전용품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활용성을 높였다.

전승훈 LG유플러스 스마트인프라사업담당(상무)은 “앞으로도 솔루션 고도화를 통해 산업 현장에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근로자를 위한 가치 혁신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남혜정 기자 namduck2@donga.com
#안전경영#기업#산업#lg유플러스#실시간 사고 위험 경고#스마트 안전장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