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랑새’ 날리고 ‘X’ 새긴 트위터… 일부 “26조 브랜드가치 날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머스크, 트위터 상징 ‘X’로 교체
수익 하락-스레드 등장에 리브랜딩
전문가 “상당한 재정적 부담 될것”
‘페북 사명 변경 화장술’ 빗댄 비판도

25일 소셜미디어 트위터 웹페이지가 기존 상징인 ‘파랑새’대신 ‘X’로 바뀌어 있다. 트위터를 인수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는 24일(현지 시간) 트위터의 새 상징을 공개했다. 뉴시스
25일 소셜미디어 트위터 웹페이지가 기존 상징인 ‘파랑새’대신 ‘X’로 바뀌어 있다. 트위터를 인수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는 24일(현지 시간) 트위터의 새 상징을 공개했다. 뉴시스
“트위터의 이미지를 교체하는 리브랜딩 결정으로 최대 200억 달러(약 25조6000억 원)의 가치가 사라졌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24일(현지 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CEO) 트위터의 상징을 ‘파랑새’에서 ‘X’로 교체한 결정을 두고 전문가 평가를 인용해 이같이 지적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밴더빌트대는 트위터의 현재 브랜드 가치를 150억∼200억 달러로 평가했다. 현지 브랜드 전문가는 “트위터의 브랜드 가치를 확보하는 데 15년 이상이 걸렸다”며 “이를 바꾸는 것은 재정적으로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25일 현재 트위터 웹사이트의 로고와 머스크 계정의 프로필 이미지 등은 파랑새 대신 모두 X로 바뀐 상태다. 다만 트위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의 로고 이미지와 유료 서비스 ‘트위터 블루’ 등에는 여전히 기존 상징인 파랑새가 남아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은 머스크의 리브랜딩 결정의 배경으로 트위터 광고 수익 하락을 꼽았다. 머스크가 지난해 10월 440억 달러에 회사를 인수한 뒤 트위터의 운영 정책 변화로 혐오·차별 발언이 늘어나자 다수의 기업이 온라인 광고를 중단한 상태다. 머스크는 15일 트위터에 “우리는 현금 흐름이 여전히 마이너스 상태”라며 “광고 수익이 50% 가까이 떨어진 것에 더해 채무 부담 때문”이라고 밝혔다. 앞서 NYT는 올해 4월부터 5월 첫째 주까지 5주간 트위터의 미국 내 광고 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59%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가 새 플랫폼 ‘스레드’를 출시하며 닷새 만에 1억 명의 이용자를 모은 점도 리브랜딩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 트위터와 비슷한 기능을 갖춘 스레드가 앞으로 광고를 적용하면 트위터의 광고주가 추가 이탈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주요 언론과 전문가들의 반응은 부정적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머스크의 트위터 리브랜딩 결정을 2021년 10월 페이스북이 회사명을 변경한 것과 비슷한 사례로 봤다. 당시 페이스북은 회사 이익을 위해 혐오·차별 발언과 허위 조작 정보 유통을 방치했다는 내부 고발자의 폭로로 미국 정치권과 언론의 집중적인 비판을 받으며 사명을 바꿨다. NYT는 페이스북의 회사명 변경 결정을 ‘화장술(cosmetic)’이라고 지적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리브랜딩으로 트위터가 소송을 당할 가능성도 있다. 새 상징으로 교체한 알파벳 X는 이미 상표로 널리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는 각각 X 관련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다.

FT는 24일 칼럼을 통해 “(트위터가) 외관을 바꾼다고 해서 새로운 수익원이 나오진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브랜드를 X로 변경한 것이 상황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고 했다.

지민구 기자 warum@donga.com
#트위터 리브랜딩#파랑새#x#26조 브랜드가치#일론 머스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