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인증 전문인력 빈자리 채워주는 맞춤형 컨설팅·교육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KTR·KCL, 해외인증 전 주기 기술 자문 지원

윤석열 대통령이 수출플러스 달성을 위한 세일즈 외교의 일환으로 최근 폴란드를 방문해 총 33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 가운데 KTR이 의료기기 및 의약품 임상시험을 위해 폴란드 임상시험기관인 퓨어클리니컬과 체결한 업무협약은 의료기기 및 의약품 분야 해외 인증 획득에 어려움을 겪는 우리 기업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해외 인증 종합지원 전략’을 발표하고 국내 8개 시험인증기관과 협력해 국내 기업의 해외 인증 취득을 밀착 지원하고 있다. 시험인증기관의 기업 지원 사례를 소개하는 이번 시리즈에서 기업 내 해외 인증 전문 인력의 빈자리를 맞춤형 컨설팅으로 채워주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원장 김현철)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원장 조영태)을 살펴봤다.

● 중소기업의 해외 인증 전문가 KTR
KTR은 7개 국내시험소와 7개 해외지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40여 개국 200여 개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폭넓은 글로벌 협력 기반을 구축해 우리 기업의 수출을 돕고 있다. 특히 국내기관 중 유일하게 유럽 의료기기 인증(MDR·Medical Devices Regulation) 심사원 자격으로 의료기기 품질 심사 수행이 가능한 CE MDR 인증 대응 체계를 갖추고 있다. 또한 유럽과 중국, 일본 등 각국 화학물질 규제 극복 서비스와 유엔 지정기관으로서 탄소 중립 국내외 검증·인증 등 KTR만의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T사는 의료용 봉합사 제조업체로서, 수출국별로 다른 인증 및 규제에 대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특히 브라질 수출 과정에서 브라질식의약품감시국(ANVISA)의 인증 취득을 준비하면서 현지 인증에 대한 요구 사항 및 절차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T사의 의뢰를 받은 KTR은 해외 인증 전담 부서 전문가를 통해 브라질 규제 상담부터 현지 대리인 선정, 기술문서 작성 및 심사, 인허가 승인까지 수출 전 과정에 걸친 원스톱 인증 지원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 결과로 T사는 인증을 획득하기까지 최대 6개월이 단축됐고, 2022년 10만 달러의 수출 실적을 거뒀다.

● 해외 인증을 위한 세계적인 인프라 KCL
KCL은 건설, 에너지, 생활안전, 물류, 이차전지 등 산업 전 분야에 걸쳐 시험·평가·인증 및 연구개발 등을 수행해 오고 있으며, 24개국 82개 기관과 해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최근 핀란드 유로핀스(Eurofins) 그룹 내 배터리 시험소를 개소해 중대형 배터리 시험평가 인프라를 구축해 국내 기업의 유럽 진출을 지원하고 있으며, 독일인증기관(DIN CERTCO)으로부터 국내 유일의 생분해성 소재 분야 시험기관으로 지정받는 등 해외 기관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식품용기, 포장재 등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PLA) 시트 생산업체인 E사는 PLA 시트의 독일 수출을 위해 산업퇴비화 관련 인증이 필요했다. 당시 국내에는 시험기관이 없어 독일 시험인증기관에 직접 시료를 보내 시험을 진행하려 했지만 현지 담당자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았다. E사는 생분해 평가시설 등 관련 인프라를 갖춘 KCL을 통해 DIN CERTCO 시험을 의뢰해 인증까지 신청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E사는 하반기부터 세계 최초로 석유화학계 플라스틱 수준을 대체할 수 있는 생분해성수지제품 커피캡슐을 수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도 두 기관은 해외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활용해 해외인증지원단과 함께 국내 수출기업의 해외 인증 취득 전 주기별 맞춤형 기술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더불어 해외인증지원단은 기업 내부 인력의 해외 인증 역량 강화를 위해 중소·영세 기업을 대상으로 전문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해외 인증 종합지원 전략#ktr#kcl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