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대급 인재 키워라”…국가 반도체 연구실에 25억 연구비 지원

  • 뉴시스
  • 입력 2023년 6월 29일 10시 26분


코멘트

올해 국가 반도체 연구실 19개 신규 지정…상반기 9곳
반도체 인력 양성 민관 협의체 개최…삼성·SK 등 참여

정부가 국가대표 반도체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해 ‘국가 반도체 연구실’을 만든다. 국가 반도체 연구실로 선정된 기관은 5년 간 총 25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고려대학교에서 ‘국가 반도체 연구실 착수 기념식’을 진행한 뒤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반도체 미래기술 민관 협의체’를 주재했다.

과기정통부는 ‘초격차 전략기술 육성으로 과학기술 G5 도약’이라는 국정과제 달성을 위해 ‘반도체·디스플레이·차세대전지 등 3대 주력기술 초격차 R&D 전략’을 지난 4월 발표하고, ‘반도체 미래기술 민관 협의체’를 5월 출범하는 등 반도체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국가 역량을 총결집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같은 사항을 적극 이행하기 위한 후속조치 중 하나로 중장기 한우물 파기 연구를 수행할 국내 최고 수준의 반도체 연구실을 선정해 미래 기술 선점 및 기업 난제 해결에 나설 방침이다. 또한 한 분야에 높은 전문성을 가진 석·박사 인력을 키워내기 위해 ‘국가 반도체 연구실 사업’을 새로 추진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국가 반도체 연구실로 선정되면 매년 5억원 규모로 5년 간 총 25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선정이 완료돼 오늘 기념식에 참석하는 9개 연구실 외에 하반기에도 10개 연구실을 추가 선정해 총 19개 국가 반도체 연구실을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국가 반도체 연구실 선정·평가에는 산업계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민간 수요 기반 차세대 기술개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향후 국가반도체연구실을 지원할 지식재산 및 산업기술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연구실 성과가 10년 이내에 기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국가 반도체 연구실’ 착수를 계기로 해당 사업의 주요 목표 중 하나인 반도체인력양성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정부, 산업계, 학계, 연구계의 각 분야 대표기관이 참여하는 반도체 미래기술 민관 협의체가 열렸다.

민관 협의체는 반도체 각계 소통 및 교류 지원과 함께 정부의 반도체 연구개발 정책·사업에 상시적으로 민간의 수요와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올해 5월 출범했다.

이날 민관 협의체에서는 반도체 고급인력 현황 및 대응방안을 주제로 반도체 산업협회에서 발제를 진행했다. 이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팹리스산업협회, 정부출연연구원 등에서 반도체 전문인력 수요자 관점에서의 의견을 내고, 국가반도체연구실·학회에서도 인력양성 기관 입장에서의 의견을 제시했다. 과기정통부·산업통상자원부·교육부 등 반도체 인재양성 관계부처에서도 참여해 관련 정책 및 향후 추진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종호 장관은 “반도체 기술 초격차 확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도전적인 연구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연구환경을 조성하고 훌륭한 인재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것”이라며, “정부는 앞으로도 반도체 미래기술 개발과 고급인력 양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민관이 긴밀히 협력할 수 있도록 ‘반도체 미래기술 민관 협의체’를 적극적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