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가전 ‘AI 윤리’ 국제표준 인증…한국 기업 최초

  • 뉴스1
  • 입력 2023년 6월 15일 15시 28분


코멘트
강명수 한국표준협회장(왼쪽)과 유미영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부사장(오른쪽)이 15일 서울 강남구 한국표준협회에서 열린 수여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강명수 한국표준협회장(왼쪽)과 유미영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부사장(오른쪽)이 15일 서울 강남구 한국표준협회에서 열린 수여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005930) 생활가전사업부는 국내 최초로 국제 표준 ‘인공지능(AI) 경영시스템(ISO/IEC 42001)’에 대한 인증을 받았다고 15일 밝혔다.

이 인증은 AI 기반의 제품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제공할 때 회사가 AI 윤리나 신뢰성과 관련한 리스크 대응 및 관리를 책임감 있게 수행하는지를 중점으로 평가한다.

한국표준협회는 AI 가전 제품?서비스의 기획, 개발, 양산, 폐기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쳐 AI와 관련된 △보안 △공정성 △투명성 △데이터와 시스템 품질의 신뢰성 등을 적절히 관리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인증했다.

이번 인증은 개별 솔루션을 넘어 ‘경영 시스템 전반’에 대한 인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서 삼성전자 로봇청소기, 세탁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등 총 14종의 AI 가전제품과 서비스가 ‘AI+ 인증’을, 로봇청소기와 스마트싱스 홈케어 서비스가 ‘AI 신뢰성 인증’을 획득하며 AI 기술의 품질과 신뢰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지난 2019년 삼성전자는 AI 기술 편의성은 극대화하고, 부작용은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법규를 준수하는 것은 물론 ‘AI 윤리 원칙’도 수립했다. 이는 사회적·윤리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 등을 3대 원칙으로 삼고 있다.

삼성전자 로봇 청소기 ‘비스포크 제트봇 AI’는 3대 AI 윤리 원칙을 지키는 대표적인 제품이다. 지역별 출시 일정에 따라 견종과 같은 데이터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데이터 편향성을 최소화하고 있다. 또 청소 중 인식된 사물 정보를 청소 결과와 함께 사용자만 확인 가능하도록 했다. 이 밖에도 개인 정보 저장 시 암호화 적용, 제한된 접근 권한 부여 등 보안 솔루션도 강화했다.

유미영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부사장은 “앞으로도 공정하고 투명한 AI 기술을 만드는 것은 물론 AI 기술이 소비자의 일상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