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전세 사기 의심’ 970명 수사 의뢰…“검경과 긴밀 공조”

  • 뉴스1
  • 입력 2023년 6월 8일 14시 29분


코멘트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2023.6.1/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2023.6.1/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국토교통부는 부동산 거래 신고 데이터와 피해 상담 사례를 분석해 전세 사기 의심자와 관련자 970명을 적발해 수사의뢰했다고 8일 밝혔다.

국토부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검찰청·경찰청과 함께 범정부 전세 사기 전국 특별단속 중간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 7월 전세 사기 근절을 위한 범정부 특별단속이 실시됨에 따라 국토부가 보유한 정보를 조사, 분석해 검경과 공유하며 긴밀한 공조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총 1322건의 거래에서 조직적 전세 사기 정황을 포착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거래의 전세 사기 의심자와 관련자 970명에 대해 수사를 의뢰했다.

이외에 신고가격 거짓 신고 등 국세청에 316건, 거래신고법 위반·자료 제출 불응 등 지자체에 1164건을 통보했다.

전세 사기 의심 거래의 지역별 보증금 피해 규모는 서울 강서구가 833억원으로 가장 컸으며 경기 화성이 238억원, 인천 부평이 211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번에 수사의뢰한 거래의 피해상담 임차인은 558명으로, 이 중 20·30 청년층 비율은 61.3%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전세 사기 의심자 등 970명의 신분은 △공인중개사 및 중개보조원(414명, 42.7%) △임대인(264, 27.2%) △건축주(161명, 16.6%) △분양·컨설팅업자(72명, 7.4%) 순이었다.

국토부는 하반기에는 분석 대상을 4만여 건으로 대폭 확대해 부동산 거래신고 데이터 기반 조사를 추진하는 등 수사에 적극 공조할 계획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앞으로 검경으로부터 수사 개시·피해자 현황 등 정보를 공유받아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에서 전세사기피해자 결정이 신속히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울러 인공지능(AI) 및 사회연결망 분석기법 등을 활용해 중개사, 임대인 등의 연결고리 분석을 통해 전세 사기 등 위험한 시스템 구축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국토부와 대검찰청, 경찰청은 지난 1월 전세사기 대응 협의회를 개최해 긴밀한 수사 협력 체계를 구축한 바 있다.

국토부는 보유 자료를 분석·조사한 뒤 전세 사기 의심 사례를 수사 의뢰한다. 경찰과 검찰은 수사와 기소, 공소유지에서 협력하고 있다.

경찰청은 지난해 7월부터 10개월간 전국적인 단속을 적극 실시한 결과 전세 사기 사범 2895명(구속 288명)을 검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