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좌에 뜬금없이 30만 원 입금…“사기 수법입니다”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4월 25일 13시 40분


코멘트
소상공인 A 씨는 본인 계좌에서 신원 미상의 송금인으로부터 받은 30만 원을 확인했다. 물품대금을 받기 위해 매장 내부에 적어둔 계좌 번호를 보고 누군가 돈을 보낸 것이다. 당일 저녁 은행 측은 A 씨에게 보이스피싱에 연루됐다면서 계좌 전체를 지급 정지 처리했다. 이후 사기범은 A 씨에게 연락해 “편취한 보이스피싱 금액을 통장에 넣은 것”이라며 지급 정지를 풀고 싶으면 합의금 수백만 원을 보내라고 협박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이러한 ‘통장 협박’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면서 사기범의 합의금 요구에 절대 응해선 안 된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통장 협박은 사기범이 보이스피싱 피해자의 계좌에서 자영업자에게 10만~30만 원의 소액을 이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구제 신청을 하면 자영업자의 계좌는 지급 정지 처리가 된다. 이후 사기범은 자영업자에게 접근해 지급 정지 해제를 조건으로 합의금을 요구한다.

자영업자는 이때 사기범에게 절대 합의금을 송금해선 안 된다. 돈을 보내도 사기범은 지급 정지를 해제할 자격이 없기 때문이다. 계좌가 지급 정지되면 은행에 피해자와의 합의 중재를 요청하면 된다.

자영업자의 계좌번호는 매장에서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영업자는 공개된 장소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계좌번호 노출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뉴시스
‘보이스피싱 대응 범정부 TF’는 현재 통장 협박 피해자의 신속한 구제가 가능하도록 통신사기피해환급법 개정 등 대책을 추진 중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 현장에서 인지한 신종 보이스피싱 수법을 제보 받아 신종 수법 출현 시 소비자 경보 발령 등을 통해 관련 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할 계획”이라며 “소비자가 보이스피싱에 사전 대처할 수 있도록 유사한 민원 사례를 지속 제공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통장 협박’ 사례 유의사항

1. 사기범은 지급정지 해제 권한이 없으므로 합의금을 절대 송금하지 마세요.

2. 통장 협박으로 계좌가 지급 정지된 경우 은행에 피해자와의 합의중재를 요청하세요.

3. 공개된 장소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계좌번호 노출을 최소화하세요.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