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 규모 작아 신규는 729채 그쳐
주민 50% 동의 확보도 불투명

첫 후보지가 선정됐지만 사업요건인 주민 절반 이상 동의를 받을 수 있을지 불투명한 데다 단지 규모가 작아 신규 공급 물량이 700여 채에 그치는 등 공급확대 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에 선정된 5개 단지는 민간 재건축으로는 사업성이 떨어져 사업이 장기간 정체됐던 곳들이다. 국토부가 예상 수익성을 분석한 결과 후보지 5곳 모두 용도지역을 한 단계씩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적률은 현재보다 평균 178%포인트 증가한다. 늘어난 용적률의 절반을 기부채납해도 조합원 분담금은 민간 재건축을 추진할 때보다 평균 절반(52%)으로 감소한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이는 대규모 단지들이 공공재건축 참여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공재건축 사전컨설팅을 받은 단지 7곳 중 유일한 서울 강남권 단지였던 ‘신반포19차’와 서남권 A단지 등 2곳도 ‘주민 10% 동의’라는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이번에 후보지에서 제외됐다. 신반포19차는 민간이 추진해도 사업성이 충분하고 분담금을 더 내더라도 고급 아파트를 짓겠다는 요구가 많아 애초 공공재건축 추진 의지가 크지 않았던 곳이다. A단지는 주민 반발로 사전컨설팅을 받기로 했다가 중간에 철회했다. 국토부는 이 2곳에 대해 공공재건축에 참여하도록 설득할 계획이다.
이번에 후보지로 선정된 5개 단지 주민들이 실제 공공재건축에 참여할지도 미지수다. 공공재건축 사업을 추진하려면 주민 절반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후보지 주민들 중 상당수는 심층 컨설팅 결과를 보고 결정하자는 분위기다. 최용진 망우1구역 재건축조합장은 “용적률을 더 올려달라는 주민 요구가 적지 않다”며 “이런 요구가 반영될지에 따라 주민들의 판단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심층 컨설팅 결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다음 달 내놓는다.
주민들은 서울시장 보궐선거 결과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새 서울시장 취임 후 민간 재건축 규제가 풀릴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이덕근 미성건영 재건축조합장은 “공공이든 민간이든 주민들에게 유리한 쪽으로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공공에 대한 불신이 큰 터에 서울시장 변수까지 겹친 상황이라 공급 목표를 당초 계획대로 달성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호경 기자 kimhk@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이새샘 기자
“이재용 사면해야”… 반도체 위기에 곳곳서 목소리
[이기홍 칼럼]필패 자초하는 與, 천운 걷어차는 野
檢 “‘김학의 출금’ 이성윤 지검장 기소할 것…文대통령 檢총장 후보자 지명 이후”
[오늘과 내일/이성호]백신 위기를 불러온 세 가지 패착
김근식 “김어준과 유재석의 차이점…친문MC·국민MC”
“밥까지 정부 간섭” MZ세대 반발만 불러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