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19년 임금 근로 일자리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보수)은 전년 대비 12만 원(4.1%) 증가한 309만 원, 중위소득은 14만 원(6.3%) 증가한 234만 원이다.
통계에 포함된 임금 근로자는 기업체에서 임금을 대가로 받으면서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는 근로자다. 세법상 사업소득자인 보험설계사·택배기사 등 특수형태근로 종사자(특고)는 대상에서 제외됐다.
상대적 저소득층으로 분류되는 중위소득 50% 미만 근로자는 20.1%로 0.3%포인트 감소했다. 중위소득 50% 이상~150% 미만 근로자는 반대로 1.4%포인트 늘어난 50.4%였다.
소득 구간별로는 150만 원 이상~250만 원 미만이 28.5%로 가장 많았다. 250만 원 이상~350만 원 미만 16.7%, 85만 원 미만 14.9%, 85만 원 이상~150만원 미만 10.2% 순이다. 1000만 원 이상은 2.3%였다.
기업 특성별 소득은 조직형태별로 회사법인(344만 원)과 정부·비법인단체(334만 원)가 가장 높았다. 이어 회사이외법인(322만 원), 개인기업체(178만 원) 순이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 근로자 평균소득이 515만 원으로 가장 높고 이어 비영리기업(327만 원), 중소기업(245만 원) 순이었다.
산업분류별로는 전기·가스·증기·공기조절공급업의 평균 소득이 635만 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금융보험업(618만 원), 국제외국기관(474만 원) 등의 순이었다. 숙박음식점업 근로자 평균 소득은 144만 원으로 가장 낮았다.

연령대별로는 40대 근로자의 평균소득이 381만 원으로 가장 높고, 50대(357만원), 30대(335만원), 20대(221만 원), 60세이상(207만 원), 19세이하(84만 원) 순이었다. 전년 대비 모든 연령층에서 평균소득이 증가했다.
특히 남자는 40대(442만 원), 여자는 30대(294만 원)에서 평균 소득이 가장 높았다. 평균 소득의 성별차이는 50대(198만 원)에서 가장 컸으며, 19세이하(11만 원)에서 가장 작았다.
김진하 동아닷컴 기자 jhjinha@donga.com
‘메이드 인 코리아’ 무기로 中 ‘해상민병’ 격퇴 나선 필리핀
홍준표 “권력 영원하지 않아…文, MB·朴 사면하라”
“강원도에 차이나타운 반대” 청원 57만명 돌파
백신 50일 접종률 2.65%… 출구 안보이는 ‘백신 터널’
‘공수처 산파’ 이찬희 “신생아 공수처가 檢상위기관 행세 문제”
이인호 “한미, 北인권 인식차 못좁히면 관계 악화될것”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