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듀오웨드는 최근 2년 이내 결혼한 신혼부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혼비용 보고서’를 23일 발표했다.
구체적인 지출 금액은 Δ주택(1억9271만원) Δ예식홀(896만원) Δ웨딩패키지(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278만원 Δ예물(619만원) Δ예단(729만원) Δ이바지(79만원) Δ혼수(1309만원) Δ신혼여행(437만원)으로 나타났다.
신혼집 점유 형태는 ‘전세’(53.9%)로 가장 일반적이었다. 이어서 Δ자가구입(31.6%) Δ반전세(6.1%) Δ월세(2.6%) 등의 비율이었다.
또 신혼 부부 10명 중 7명(71.2%)는 ‘아파트’에서 결혼을 시작한다고 응답했다. 이어서 Δ빌라(14.5%) Δ일반 주택(9.5%) Δ오피스텔(4.7%) 순이었다. 다만, 서울은 신혼 부부 10명 중 3명(28.4%)이 빌라에서 시작했다. 높은 아파트 가격의 영향으로 보인다.
주택자금을 제외한 결혼 비용은 평균 4347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예식비용’은 예식홀과 웨딩 패키지를 합해 평균 1174만원을 사용했다.
가장 축소하고 싶은 결혼상품으로는 ‘이바지’(30.1%)로 나타났다. 뒤이어 Δ예단(26.6%) Δ예물(11.8%) Δ웨딩패키지(10.3%) Δ예식홀(5.6%) Δ혼수(4.9%) 등이 꼽혔다.
또 전체 응답자 대부분(92.4%)는 ‘작은 결혼식’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신혼부부 10명 중 4명(35.9%)은 ‘부모의 전통적인 사고방식’ 때문에 결혼을 간소화하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서 Δ고착화된 결혼 절차(29.1%) Δ예의와 절차를 따르고 싶은 의사(19.8%) Δ주변의 이목과 체면(14.1%) 등도 결혼 간소화를 막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아울러 응답자 10명 중 5명(45.1%)는 부모 도움 없는 자립 결혼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이어서 Δ일부 도움을 받으면 가능하다(22.4%) Δ대부분 도움을 받아야 한다(17.6%) Δ도움 없이는 절대 불가능하다(14.9%) 순이었다.
(서울=뉴스1)
[송평인 칼럼]박범계를 지켜보는 게 고통스러운 이유
[김순덕의 도발]김어준의 뉴스공장, 세금으로 들어야 하나
최순실 “국가·국민 기망한 안민석 국회의원직 박탈하라”
떠나는 이성윤 측근 “檢개혁, 특정집단 아닌 국민 위해야”
홍준표 “사찰 겁낼 정도면 공직자해선 안 돼…투명하면 문제없어”
이수정, ‘나경원 캠프’ 합류…“정치는 안해”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