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TV시장 삼성 1위-LG 2위 지켰지만… 中, 무섭게 추격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8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한국기업 프리미엄 TV 선전 힘입어 상반기 전세계 매출 48% 차지
내수회복 中, 2분기만 놓고 보면
TCL, LG 제치고 출하량 2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1∼6월) 글로벌 TV 시장이 위축됐지만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나란히 글로벌 1, 2위 자리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초반에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았다가 가장 빨리 정상 가동을 시작한 중국 업체들이 2분기 들어 무서운 속도로 추격하며 2분기 출하량 기준으로는 중국 TCL이 LG전자를 제치고 2위에 올라섰다.

19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상반기 글로벌 TV 시장 판매 규모는 출하량 기준 9187만2000대, 판매 금액은 397억5300만 달러(약 47조 원)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7.7%, 17.8% 감소했다. 코로나19로 공장이 폐쇄돼 생산에 차질이 생기고, 올림픽과 같은 대형 이벤트가 취소되는 등 TV에 대한 수요도 떨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TV 시장이 위축됐지만 한국 기업은 압도적 시장점유율을 굳히며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출하량 점유율에서 각각 20.8%, 11.7%를 차지하며 1, 2위를 지켰다. 중국 기업 TCL(10.9%), 하이센스(8.5%)가 뒤를 이었다.


프리미엄 TV 시장의 선전에 힘입어 매출액 기준 점유율 순위도 지켰다. 삼성전자의 상반기 매출액 점유율은 31.3%로 1위를 차지했고, LG전자도 17.0%로 출하량보다 훨씬 높은 점유율로 2위로 집계됐다. 반면 중국 TCL과 일본 소니는 각각 7.5%의 점유율에 그쳤다. 상반기 글로벌 TV 시장 매출액의 48.3%를 한국 기업이 차지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프리미엄 제품인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TV 판매가 늘어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28.2% 올랐다. LG전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매출이 소폭 감소했지만, 프리미엄 제품의 평균 판매단가를 유지하며 매출액 점유율을 고수했다.

하지만 2분기 중국 업체들이 무서운 기세로 올라오며 한국 업체들의 점유율이 일부 영향을 받고 있는 모양새다. 국적별 출하량으로 보면 2분기 한국 기업의 TV 판매는 전 분기 대비 13.8% 감소했지만, 중국 기업은 17.0% 증가했다. 특히 LG전자는 2분기 출하량 기준 점유율이 9.8%로 중국 TCL(12.7%)에 밀린 3위로 집계됐다. 4위 하이센스(8.9%)와의 점유율 차이도 1%포인트 미만으로 좁혀졌다.

전자업계에서는 코로나19 진원지로 1분기 TV 생산과 소비 모두 직격탄을 맞은 중국 시장이 2분기 들어 빠르게 회복된 영향으로 보고 있다. TCL과 하이센스 등은 중국 내수시장에 매출의 90%가량을 의존하고 있는데, 저가 액정표시장치(LCD) TV를 중심으로 한 중국 내수시장이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중국 기업의 약진이 계속 이어지지는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중국 중저가 시장의 반짝 회복세가 2분기 시장점유율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매출 기준 한국 기업의 선전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
#국제 경제#tv 시장#삼성전자#lg전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