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마다 다른 ‘야생멧돼지 폐사체 수’…농식품부 “단순 오기”

  • 뉴시스
  • 입력 2019년 9월 27일 20시 48분


코멘트

농식품부·환경부·국방부, ASF 부처간 엇박자 비판 진화나서
"지난달 민관군 협의체 구성해 공조 체계 구축"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는 공기 중으로 퍼지지 않기 때문에 감염매개체가 필요하다. 방역당국이 비무장지대(DMZ) 등 북한과의 접경지역에서 발견되는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중요하게 보는 이유다. 이는 북한에서 ASF가 넘어왔을 것이라는 추측에 신뢰를 더할 수 있는 요소이기도 하다.

지금껏 농림축산식품부와 국방부, 환경부가 내놓은 야생멧돼지 폐사체 숫자는 모두 달랐다. 부처 간 정보 전달에 시차가 있었다거나 아예 자료를 공유하지 않았다는 의문이 제기됐다. 비판이 거세지자 그렇지 않아도 ASF 확산 차단에 바쁜 농식품부는 의혹 진화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방부, 환경부와 야생 멧돼지 관리 등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관련 공조 체계를 구축하고 민관군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정보 공유가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국방부가 민통선이나 DMZ, 군부대 인근에서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발견하면 환경부에 검사를 의뢰하게 된다. 이후 환경부에서 검사 결과를 국방부와 농식품부로 제공하는 식이다.

각 부처에서 집계한 야생 멧돼지 폐사체 숫자가 달랐던 이유에 대해서는 단순 오기라고 설명했다. 농식품부가 국회에 자료를 제출하면서 실수했다는 것이다. 또한 북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기 이전부터 환경부로부터 야생 멧돼지 폐사체에 대한 검사 결과를 지속적으로 받았다고 주장했다.

농식품부와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다른 검사방법을 활용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양 기관은 매년 야생 멧돼지에 대한 예찰 계획을 수립한다고 반박했다. 농식품부는 하나의 시료를 활용해 다양한 질병 감염 여부를 검사하기 때문에 다르게 보일 수 있지만 동일한 검사 방법이라는 것이다.

이날 오후 열린 농식품부 브리핑에는 정원화 국립환경과학원 팀장이 직접 참여하기도 했다.

정 팀장은 “야생 멧돼지 폐사체는 지난해 11월 17일 이후 문서를 통해 농식품부와 축산검역본부에 공유하고 있다”며 “이외에도 각 부서 간 유선을 통해 수시로 정보를 주고받는다”고 말했다.

현재 김천에 있는 농림축산검역본부 한 곳에서만 ASF 확진을 판단하는 시스템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ASF 발생은 경기 북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거리상 검역본부에서 즉각 정밀 검사를 실시하기가 어려운 구조다. 실제 농식품부는 빠른 대처를 위해 헬리콥터를 이용해 채취한 시료를 나르기도 했다.

이에 비해 국립환경과학원은 관련 시설을 갖춘 기관을 인천에 보유하고 있다. 거리상으로만 따지면 김천 검역본부보다 빠르게 정밀검사가 가능하다는 얘기다. 이를 두고 부처 간 협업이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비판이 나온 이유다.

정 팀장은 “국립환경과학원은 하천수와 야생멧돼지 사체 등 다양한 시료들이 한꺼번에 보고 있다”며 “시설 규모 면에서도 검역본부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인천에서 소화할 수 있는 시료의 양이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