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체 규모 따라 임금·복지·고용안정성 격차 크다

  • 동아경제
  • 입력 2016년 12월 13일 09시 25분


코멘트
12일 통계청이 공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6’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노동시장은 사업체 규모에 따라 임금과 복지, 고용안정성, 노동생산성, 영업이익률 면에서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통계청이 공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6’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노동시장은 사업체 규모에 따라 임금과 복지, 고용안정성, 노동생산성, 영업이익률 면에서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노동시장은 사업체 규모에 따라 임금과 복지, 고용안정성, 노동생산성, 영업이익률 면에서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체 대비 사업체규모별 시간당 임금 격차. 그래픽=통계청
2015년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체 대비 사업체규모별 시간당 임금 격차. 그래픽=통계청
12일 통계청이 공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6’ 보고서에 따르면 근로자 300인 미만 사업체의 임금은 300인 이상 사업체 임금의 39.3~76.4% 수준에 그쳤다.

2015년 사업체규모별 사회보험가입률과 노동조합가입률. 그래픽=통계청
2015년 사업체규모별 사회보험가입률과 노동조합가입률. 그래픽=통계청
사업체 규모별 복지수준의 차이도 컸다. 사회보험 가입률의 경우 300인 이상 사업체의 경우 95.0%에 달하는 반면 1-9인 사업체의 경우에는 40.8%로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조합 가입률도 300인 이상 사업체의 경우 38.4%에 달하지만, 1-9인 사업체의 경우 1.5%에 불과했다.

2015년 사업체 규모별 평균 근속년수(왼쪽)와 2014년 사업체 규모별 이직률. 그래픽=통계청
2015년 사업체 규모별 평균 근속년수(왼쪽)와 2014년 사업체 규모별 이직률. 그래픽=통계청
특히, 고용 안정성 면에서 300인 이상 사업체의 평균 근속년수는 11년에 달하지만, 1-9인 사업체의 경우에는 2.9년에 불과했다. 비자발적 이직률의 경우에도 300인 이상 사업체의 경우 13.8%에 불과하지만, 1-9인 사업체의 경우에는 23.2%에 달했다.

제조업 기준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체의 노동생산성 대비 300인 미만 사업체의 노동생산성은 2001년 36.6%에서 2013년 29.4%로 하락했고, 2009~2014년 영업이익률도 300인 이상 사업체는 경기 상황에 따라 평균 5% 전후, 300인 미만 사업체는 3.1~3.3% 수준으로 나타났다.

동아닷컴 최용석 기자 duck8@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