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기업+정부 빚 3607조… GDP 3배 육박

  • Array
  • 입력 2013년 3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금융위기때보다 더 높아… 가계-기업 부채 위험수준
한국경제 뇌관 될수도

가계, 기업, 정부 등 한국의 경제주체들이 지고 있는 빚이 전체 경제규모의 3배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크게 불어난 가계와 기업의 부채는 이미 위험 수위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은행의 ‘자금순환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가계, 비(非)영리단체, 비금융 민간기업, 일반 정부(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총부채는 3607조3175억 원이었다. 1272조4595억 원이었던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283%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70년 이후 가장 높은 것.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244%)은 물론이고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278%)보다도 높았다. GDP 대비 가계, 기업, 정부의 총부채 비율은 10년 전인 2003년까지 221%였지만 주택가격 상승으로 가계부채가 늘어난 데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정부 부채까지 급증하면서 크게 높아졌다. 2010년에 경기가 회복되면서 271.1%로 잠시 하락하는 듯했던 부채비율은 2011년 278.3%로 뛴 데 이어 지난해에 280% 선을 넘어섰다.

경제가 성장하면 부채규모가 늘어나는 게 정상이지만 최근 가계 및 기업의 부채는 경제성장률보다 빠르게 늘고 있어 경제위기가 닥칠 경우 부실가계, 부실기업이 늘어나 한국경제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로 2003년 559조3000억 원이던 가계·비영리단체 부채는 지난해 1158조8000억 원으로 늘면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같은 기간 73%에서 91%로 높아졌다. 기업부채 역시 988조6000억 원에서 1978조9000억 원으로 증가해 GDP 대비 기업 부채비율이 129%에서 156%로 상승했다.

일반적으로 가계부채는 GDP 대비 85%, 기업은 90%가 넘을 때 위험 수준으로 평가되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의 가계와 기업 부채에 이미 비상등이 켜진 셈이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시킨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당시 미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8%였다. 한국의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비율은 37% 수준으로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이었지만 부채 증가속도는 가파르다. 2003년 148조1000억 원에 불과했던 정부 부채가 지난해에는 3.2배인 469조6000억 원으로 불어났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부채비율이 높은 상태에서 경제위기 등 외부 충격이 닥치면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며 “부채가 많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계상황에 닥치는 기업도 늘어날 수 있는 만큼 중장기적인 부채 감축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병기 기자 weappon@donga.com
#GDP#기업부채#가계부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