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카페]홈플러스 ‘MVNO’ 진출, 이통사엔 불리? 기회!

  • Array
  • 입력 2012년 1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홈플러스가 ‘반값 휴대전화’라 불리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로 통신시장에 진출한다. 소비자들이 이를 주목하는 이유는 홈플러스 같은 대기업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3사와 경쟁해 1원이라도 통신요금을 낮추길 기대해서다. MVNO는 이동통신 3사의 망을 빌려 서비스를 하는 방식을 말한다. 물론 이동통신사들은 MVNO의 매출 증가가 자사 매출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게 부담스러울 수 있다.

그런데도 이동통신사가 MVNO에 협력해야 하는 이유는 그들이 희소성이 큰 공공재인 주파수로 사업을 하기 때문이다. 이를 독점해 쓸 수 있는 권한을 받았으니 공익에도 기여할 의무가 있다. 스스로 요금을 낮출 자신이 없으면 MVNO에게 자신들의 통신망을 빌려주고 MVNO로 하여금 싼 요금으로 소비자들에게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기회를 주면 되는 것이다.

MVNO는 장기적으로 ‘내수용 기업’이라는 이동통신사의 체질을 개선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국내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은 연 매출이 12조 원이 넘는 대기업이지만 해외 사업에서 성공한 사례가 거의 없다. 이는 요금 중심의 사업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제는 요금 매출 비중을 조금씩 줄이고 이동통신사가 갖고 있는 수많은 가입자를 기반으로 애플의 앱스토어나 페이스북처럼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 사업을 육성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수준 높은 통신서비스를 제공한 경험을 해외에 수출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해야 하는 시점인 것이다.

이미 SK텔레콤은 SK플래닛이라는 플랫폼 전문 회사를 분사시켰고, KT도 지난해 5월 ‘KT-KTF’ 합병 2주년을 맞아 ‘글로벌 KT’를 선포해 새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데 매진하고 있다.

정진욱 산업부 기자
정진욱 산업부 기자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는 MVNO 사업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게 바람직하다. 이동통신사들은 주저할 수 있지만 통신요금 인하와 이동통신사 체질 개선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만 지난해 방통위가 추진했던 ‘기본요금 1000원, 문자메시지 1000원 인하’처럼 시장원리에 맞지 않는 억지 정책은 강요하지 않겠다고 약속할 필요가 있다.

정진욱 산업부 기자 coolj@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