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스페셜]SNS 타고 ‘크라우드펀딩’ 새 날개 펴다

  • Array
  • 입력 2011년 11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DBR 그래픽
DBR 그래픽
최근 새로운 자금 조달 방법으로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이 뜨고 있다. 크라우드펀딩이란 특정 프로젝트에 다수의 사람들이 소액을 후원하는 자금 조달 방법을 말한다. 흔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매개체로 삼는다. 즉, 자금을 모집하는 이가 SNS로 자신의 활동 계획을 알리면 불특정 다수의 후원자들이 SNS를 통해 십시일반으로 모금하는 식이다.

크라우드펀딩의 목적은 재난 구호에서부터 시민 언론 활동, 예술가 후원이나 정치 캠페인, 신규 사업에 대한 소규모 투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미국에서는 크라우드펀딩을 ‘전문적 자본가가 아닌 개인들로부터 소규모 금액의 기부·후원·투자 약정을 얻어내기 위해 일반적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것’이라 정의하고 있다. 소셜펀딩(social funding), 커뮤니티펀딩(community funding), 마이크로벤처링(micro venturing) 등의 단어들이 크라우드펀딩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동아비즈니스리뷰(DBR) 92호에 소개된 크라우드펀딩 사례와 방법론을 요약한다.

○ 크라우드펀딩의 역사

사실 미국과 유럽에서는 크라우드펀딩을 기존의 펀딩 방식과 비교해 완전히 새로운 개념으로 보고 있지는 않다. 정부가 시민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도 공공재 공급을 위한 일종의 크라우드펀딩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업의 영업활동에 대한 투자 개념으로서 최초의 크라우드펀딩을 꼽자면 1602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주식거래소에 상장된 네덜란드동인도회사(합자동인도회사)의 주식을 꼽을 수 있다. 이 회사는 아시아까지의 위험하고 값비싼 항해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 주식을 공모했다. 이를 통해 일반인들에게서 엄청난 금액의 자금을 모을 수 있었다. 지금처럼 인터넷을 활용한 크라우드펀딩의 효시는 1997년 영국에서 나왔다. 영국 록그룹인 마릴리온이 미국 투어에 사용할 자금 6만 달러를 인터넷을 통해 모금하는 데 성공했다.

○ 해외 크라우드펀딩 사례

대표적인 크라우드펀딩 사례로 킥스타터(www.Kickstarter.com)를 꼽을 수 있다. 페이스북의 대항마가 될 것으로 평가받는 디아스포라(Diaspora)가 이 사이트를 통해 무려 20만 달러가 넘는 금액을 모으면서 유명세를 탔다. 영화 음악 미술 등 문화예술 전 분야에 대한 펀딩을 진행한다. 예술가들이 자신들의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동영상이나 음원을 직접 올려 후원자들에게 모금을 받는 구조다. 자금 조달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킥스타터가 부과하는 수수료는 모금액의 5%. 모금액에 따라 별도의 결제 수수료(3∼5%)도 붙는다.

2008년 1월 문을 연 인디고고(www.indieGoGo.com)는 킥스타터와 달리 모금액이 목표액에 도달하지 못해도 모금액을 전달해 주는 게 특징이다. 수수료는 목표 금액 도달 시 모금액의 4%,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9%를 부과한다. 지불 중개 수수료 3%는 별도다.

이 밖에 로켓허브(www.RocketHub.com)는 크라우드펀딩 기능 외에 ‘론치패드(Launch Pad)’라는 일종의 오디션 서비스를 함께 운영해 차별화하고 있다. 특정 주제에 대해 예술가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온라인 사이트에 제출하면 일반인들의 투표를 통해 좋은 아이디어를 최종 선정해 지원한다. 선정된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문화예술 분야인 만큼 주로 공연 전시 등의 기회가 부여된다.

○ 크라우드펀딩 활성화를 위한 선결 과제

크라우드펀딩이 대안적 자금 조달 방법으로 활성화되려면 우선 후원자의 펀드 기금을 투자로 볼 것인지 기부로 볼 것인지에 대한 유권해석이 명확하게 이뤄져야 한다. 예를 들어 P2P 대출이라면 원금과 함께 이자 수익을 기대하는 투자로 보는 게 마땅하다. 반면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펀딩이라면 예술 생태계 조성에 일조한다는 측면에서 기부로 보는 게 타당하다.

자금 조달자의 권리 및 의무와 관련한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크라우드펀딩은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프로젝트를 사전에 일반 대중에게 공개해야 하는 만큼 지적 자산 도용 위험이 상존한다. 지속적인 크라우드펀딩 생태계가 조성되려면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대한 보호 문제가 선결돼야 한다. 반대로 자금 조달자에겐 펀딩이 끝난 후 어떤 형태로든 후원자들에게 자신이 진행한 프로젝트를 보고해야 할 책임이 있다. 불성실하고 무책임한 보고 행태는 선의의 후원자들까지 크라우드펀딩에서 발길을 돌리게 만들 공산이 크다.

마지막으로 법적·제도적 장치의 부재 역시 해결돼야 한다. 국내에는 아직까지 SNS를 포함한 인터넷 공간에서 자금이 오가는 문제에 대한 법적 보호장치나 이를 감독할 제도적 근거가 마련돼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일반대출이나 소상공인 창업자금과 관련한 크라우드펀딩은 현행 법체계상에선 대부업으로 등록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일정 금액을 후원한 후 발생되는 이자수익은 비영업대금의 이익으로 해석돼 후원자가 27.5% 수준의 원천징수 부담을 떠안게 된다.

김재중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차장
정리=이방실 기자 smile@donga.com  


비즈니스 리더를 위한 고품격 경영저널 동아비즈니스리뷰(DBR) 92호(2011년 11월 1일자)의 주요 기사를 소개합니다.

DBR 웹사이트 www.dongabiz.com, 개인 구독 문의 02-721-7800, 단체 구독 문의 02-2020-0685

대재앙 예방 7가지 방안

▼ 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일촉즉발에 정직하라, 대재앙을 피할 수 있다



2010년 6월 애플은 아이폰4를 내놓은 직후 통화 끊김 현상과 신호 강도가 약하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에 직면했다. 애플은 특정 부위를 잡으면 외부안테나를 가려 통화 신호가 약해진다며 책임을 피했다. 소비자들은 분노했다. 결국 애플은 결함을 인정하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안테나 문제 해결을 위한 케이스를 지급하기로 했다. 이 사건은 어느 날 갑자기 우연히 터진 게 아니다. 오래전부터 있었던 ‘잠재 오류’(아이폰 초기 모델부터 있었던 신호 강도의 문제와 소비자 불만을 어물쩍 넘어가는 애플의 전략)와 상황을 악화시키는 ‘조건’(언론 보도와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이 맞물리며 폭발한 것이다. 사업을 하다보면 대재앙의 순간을 아슬아슬하게 피해가는 상황이 먼저 일어난다. 관리자들은 이를 무시해 대재앙의 불씨를 방치한다. 일촉즉발의 상황을 관리해 위기를 예방하는 7가지 방안을 소개한다.

강자의 횡포에 맞서려면…

▼ Revisiting Machiavelli/약소국의 분노를 고전으로 터뜨리다



마키아벨리(사진)가 군주론, 로마사논고, 전략론 등의 명저를 통해 우리에게 말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일까. 이는 그의 가슴 아픈 개인사와 깊은 관련이 있다. 마키아벨리는 나폴리왕국, 프랑스, 스페인 등 외국 군대의 침공을 목격했다. 애국심에 불타는 그는 약소국 시민으로서 비분강개했다. 그는 강자의 횡포에 맞설 수 있는 첫 번째 길이 고전(古典)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봤다. 즉 고전을 읽으며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를 이끌었던 지도자들과 로마제국의 현자들이 어떻게 시련과 위기를 극복해 나갔는지 탐구했다. 그들이 얻은 답을 자신이 감내해야 하는 약자의 삶에 대입시켜 해결책을 제시했다. 그의 조국은 강자의 군화에 짓밟혔지만, 그의 정신만은 언제나 더 높은 곳을 향하고 있었다. 마키아벨리의 명저 군주론은 약자의 설움과 비분강개 속에서도 의연했던 그의 정신세계에서 탄생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