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기 시동 건 쌍용차… M&A까진 먼길

  • Array
  • 입력 2009년 12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 쌍용차 회생안 강제인가
3년내 흑자-매출3배 목표
내년 6월말 신차출시 계획
독자생존은 사실상 어려워
인수합병 성사 쉽지않을듯

서울중앙지법이 17일 쌍용자동차 회생계획안에 대해 강제인가 결정을 내렸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이유일 공동관리인(왼쪽), 김규한 쌍용차 노조위원장(가운데), 박영태 공동관리인이 활짝 웃으며 손을 맞잡고 있다. 김재명 기자
서울중앙지법이 17일 쌍용자동차 회생계획안에 대해 강제인가 결정을 내렸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이유일 공동관리인(왼쪽), 김규한 쌍용차 노조위원장(가운데), 박영태 공동관리인이 활짝 웃으며 손을 맞잡고 있다. 김재명 기자
법원의 회생계획안 강제인가 결정으로 쌍용자동차는 경영정상화로 가는 길목에 산재한 여러 난관 중 하나를 겨우 넘었다. 쌍용차 측은 3년 내에 흑자를 내고 경쟁력을 끌어올리면서 내년 하반기에 인수업체를 선정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자동차 전문가들은 이 같은 쌍용차의 회생 계획에 대해 “쉽지만은 않은 목표”라고 입을 모았다.

○쌍용차 “3년 내 흑자 낼 것”

쌍용차 이유일 공동관리인은 이날 법원 선고 뒤 “3년 내에 생산·품질·원가 등 경쟁력을 국내 자동차업계 수준으로 회복하고, 흑자 전환도 실현하겠다”며 “매출도 2012년까지 올해 대비 3배 이상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쌍용차 측은 “최악의 파업을 겪으면서까지 추진한 올해 구조조정으로 2200명 이상의 근무 인력이 줄어 고정비가 크게 감소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높아져 월 6000∼7000대만 팔아도 충분히 이익이 나는 회사가 됐다”고 밝혔다. 파업 종료 직후 어수선한 상황이던 올해 9∼11월에도 월평균 4900여 대를 판매한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 충분히 이익을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회생계획을 인가 받으면서 갚아야 할 채권인 1조1900여억 원 중에서 약 37%(약 4400억 원)를 면제받거나 출자전환하고, 산업은행 등 금융권의 자금 지원도 기대할 수 있어 재무건전성도 좋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쌍용차는 외부업체에 인수되지 않고 독자 생존하는 방안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에 대해 대체로 동의하는 편이다. 내년 6월 말경 내놓을 신차인 ‘C200’은 거의 개발이 완료된 상태이지만 이후에 낼 신차들에 들어갈 막대한 연구개발비를 감당할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해외 선진 자동차업체에 매각되는 것이 최선의 방도라는 얘기다. 이 관리인은 “이르면 내년 1월에 매각 주간사회사를 선정해 매수 의향이 있는 업체들과 인수합병(M&A)을 추진하겠다”며 “내년 말까지는 마무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 러시아 업체가 아닌 기업 2, 3곳이 쌍용차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 “전망 밝지만은 않아”

많은 자동차 전문가들은 쌍용차 회생계획의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우선 유력 자동차업체 중 쌍용차를 인수할 만한 기업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 최대 난관이다. 한 자동차 전문가는 “볼보·사브 등 유력 브랜드들도 M&A 시장에 매물로 나와 고전하는 상황에서 생산 규모도 크지 않고 기술이 월등한 것도 아닌 쌍용차에 매력을 느낄 선진업체는 많지 않다”며 “차라리 중앙아시아 등 개발도상국 기업이라면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폴크스바겐과 피아트가 아시아 시장 판매망이 부족하고 스포츠유틸리티(SUV) 차량 부문이 약하다는 이유로 한때 인수자 후보로 거론됐으나 이들 회사는 최근 각각 스즈키와 크라이슬러 지분을 인수했다.

내년 시장 상황도 쌍용차에 결코 유리하지 않다는 평가가 많다. 내수 시장에서는 실추한 브랜드 이미지와 판매·유통망 회복이 쉽지 않고, 국제 유가 상승과 각국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 방침 등도 SUV가 주력인 쌍용차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해외 업체나 재무적 투자자(FI)가 쌍용차를 인수하더라도 자기들 관점에서 낭비 요소를 없애기 위해 구조조정을 추가로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유지수 국민대 경영학부 교수는 “환경규제가 비교적 덜한 개도국 시장으로 수출을 확대하는 것이 돌파구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강명 기자 tesomio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