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속 3㎞ 팠지만 헛수고… 300m 더 파자 “펑!”

  • 입력 2006년 8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한 달여 동안 지층(地層)을 3km나 팠지만 소득이 없었습니다. 가스가 매장됐을 것으로 추정한 지층을 3개나 탐사했는데도 가스전이 나오지 않았어요. 공동 투자자인 인도 회사들이 ‘어렵다’며 발을 뺐지만 포기할 수 없었습니다. 모든 투자손실을 대우인터내셔널이 떠안기로 하고 발굴을 강행했습니다.”

○ 6년간의 집념… 마침내 ‘보석’을 캐다

대우인터내셔널의 미얀마 가스전 현장을 책임진 양수영(49·사진) 상무. 그는 2004년 1월 미얀마 A-1광구에서 천연가스를 처음 발견하던 상황을 회고하면서 여전히 당시의 긴장감을 감추지 못했다. 1998년 미얀마 정부와 광구 개발의 첫 협상을 시작한 지 6년 만의 일이었다.

▶본보 11일자 16면 참조

▶천연가스 심봤다…대우인터내셔널, 국내 최대 가스전 개발

양 상무는 “결국 300m를 더 파 내려가 4번째 지층에서 ‘보석’을 발견했다”며 “반드시 성공한다는 현장소장의 판단을 경영진이 믿고 지원해 준 결과”라고 11일 말했다.

당시 양 상무가 발견한 가스전 이름은 ‘쉐’. 미얀마어로 황금이라는 뜻이다. 대우인터내셔널은 이후 인근에서 ‘쉐퓨(백금)’와 ‘미야(에메랄드)’를 추가로 발굴했다. 양 상무는 국내에서 손꼽히는 자원탐사 전문가. 지구물리학 박사로 석유나 가스가 나올 만한 유망 광구를 직접 찾아다닌다.

한국석유공사에 재직하던 1990년대 초반 국내 가스전 개발을 주도했다. 당시 유망 광구 5곳을 선정해 ‘고래-1∼5’로 이름 지었고 수년 뒤 석유공사의 개발로 ‘고래-5’는 한국 최초의 가스전 ‘동해-1’이 됐다.

“우연의 일치지만 미얀마 광구와 동해-1의 지층은 모두 가스가 주로 발견되는 배사(背斜)구조(볼록한 지층)와는 거리가 멀어요. 자칫하면 묻혀 버릴 수도 있었던 셈이지요.”

○ 해외 유망광구 직접 찾아다녀

그는 “아무리 정밀하게 탐사해도 실제로 땅을 파 가스전을 발견할 확률은 15% 미만”이라며 “운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미얀마 가스 발굴엔 옛 대우그룹의 ‘후광’도 적지 않았다. 한국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1990년 옛 대우전자가 가전공장을, 1991년 옛 ㈜대우가 봉제공장을 세우는 등 적극적으로 투자한 덕에 미얀마 정부는 1998년 광구 개발을 먼저 제의할 정도로 호의적이었다. 이 때문에 대우인터내셔널이 우여곡절 끝에 광구 개발에 성공하자 양 상무는 ‘대우맨’으로서의 감회를 느꼈다.

“회사가 망하면서 저도 인생 밑바닥까지 떨어지는 기분이었습니다. 하지만 회사가 저를 ‘정리’하지 않은 덕에 회사에 기여할 기회를 얻었어요. 무엇보다 대우의 자존심을 되찾아 기쁩니다.”

이나연 기자 larosa@donga.com

주성원 기자 sw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