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도 손잡다]양국 지도자 “더 큰 파이를 위하여”

  • 입력 2005년 3월 14일 18시 10분


코멘트
중국과 인도가 최근 들어 급격히 가까워지면서 양국의 협력관계가 과연 어느 정도 수준까지 발전할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가별 인구 규모 1, 2위인 양국의 경제협력은 세계경제의 판도를 뒤바꿀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양국은 1950년대까지만 해도 둘도 없는 협력자였다. 이들은 1960년을 전후한 시기의 국경분쟁 이후 40여 년의 공백을 깨고 다시 손을 잡기 시작했다. 하지만 양국의 장기적인 협력관계 앞에는 걸림돌도 많다.

▽과거의 동반자, 닮은꼴 성장=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1820년 중국과 인도의 국내총생산(GDP) 합은 세계경제의 절반을 차지했다. 하지만 19세기 제국주의의 공격에 맥없이 무너지면서 세계의 변방으로 물러났다. 경제력도 함께 몰락했다.

1947년 인도의 독립과 1949년 중국 공산정권 수립으로 양국은 다같이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다. 인도는 민주주의를, 중국은 공산당의 일당 독재체제를 채택해 정치체제는 판이했지만 제국주의에 희생당한 경험을 바탕으로 양국은 1955년 반둥회의를 함께 이끌며 미국 소련에 맞서는 제3세계의 맹주로 떠올랐다.

경제적으로도 비슷한 길을 걸었다. 처음엔 자급자족적인 사회주의 경제정책을 도입했던 양국은 그 뒤 사회주의의 한계를 절감하고 1970년대부터 시장경제를 단계적(중국) 또는 전면적(인도)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

▽중국의 약진과 인도의 추격=경제개발에서는 덩샤오핑(鄧小平)의 지도하에 중국이 먼저 치고 나갔다. 인도가 낙후된 제조업, 높은 문맹률, 카스트 제도 등 전근대적 체제 등에 발목이 잡혀 있는 동안 중국은 대규모 투자, 높은 교육열, 노동시장 규제 완화, 적극적인 외국자본 유치 등을 통해 발전을 거듭했다.

이에 자극받은 인도는 뒤늦게 중국을 벤치마킹하기 시작했다. 인도는 만모한 싱 현 총리가 재무장관으로 재직하던 1991년부터 본격적인 경제개혁에 착수해 10여 년 만에 세계적인 정보기술(IT) 강국으로 급성장했다. 지난달 25일에는 외국인투자 확대를 위한 노동시장 자유화 방침을 밝혔다.

FT는 14일 “인도가 중국식의 경제특구를 건설할 계획”이라며 인도의 성장 잠재력을 집중 보도했다.

▽인도에 대한 중국의 구애(?)=미국의 국제문제전문 월간지 ‘포린폴리시’(2004년 8월호)는 “2003년 포브스 선정 200대 기업에 인도는 13개 기업이 포함됐으나 중국은 4개사에 그쳤다”면서 “인도는 IT 산업을 중심으로 한 자생적 성장 동력을 갖고 있어 외국인 직접투자에 의존하는 중국을 추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인도를 보는 중국의 눈길이 은근해졌다. FT는 최근 “인도의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을 계기로 중국은 인도에 대한 과거의 (부정적) 태도를 바꾸었다”고 분석했다. 세계 IT 산업의 중심지인 미 실리콘밸리의 기업 가운데 인도에 연구개발(R&D) 센터를 갖고 있지 않은 곳이 거의 없을 정도로 IT 산업에서 인도의 비중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경쟁과 협력=하지만 양국 앞에 장밋빛 미래만 있는 것은 아니다. 양국은 기본적으로 서로를 미래의 경쟁자로 보고 있다.

예를 들어 양국은 고도성장에 따른 에너지 부족난을 해결하기 위해 석유와 천연가스 확보 경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FT는 이를 두고 대체 에너지 등으로 에너지 수요체계를 바꾸지 않는 한 군사적 갈등으로 비화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런던의 국제전략문제연구소 게리 사모어 연구원은 “중국은 에너지 수송로의 확보를 위해 해안선 방어 능력 확충에 힘을 쏟고 있다”며 “이 때문에 동남아시아와 인도양에서 중국발 해군력 증강 경쟁이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형준 기자 lovesong@donga.com

김재영 기자 redfoo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