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순저축률 1.5% 사상최저…내수·투자 부진 후유증

  • 입력 2004년 5월 4일 18시 38분


코멘트
정부가 소비를 부추긴 결과 2002년에 한국의 개인 순(純)저축률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세계 주요 국가 가운데 꼴찌를 기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저축률 급락은 결국 신용불량자 391만여명과 극심한 내수 침체, 투자 부진 등 큰 후유증을 불러오면서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가계저축률 하락 원인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개인 순저축률은 2002년 1.5%로 2001년의 6.0%에 비해 4.5%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75년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개인 순저축률은 1997년 15.4%에서 1998년 23.0%로 상승했다가 1999년 16.0%, 2000년 10.5%, 2001년 6.0%로 계속 낮아졌다.

정부는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경기 부양을 위해 민간 소비 부추기기 정책과 저금리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이에 따라 2000년부터 개인 순저축률도 급격히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개인 순저축률은 2002년을 기준으로 일본(5.4%) 미국(2.3%) 캐나다(4.4%) 독일(10.6%) 등 저축률이 낮은 선진국에 비해서도 크게 떨어졌다. 또 경쟁국인 대만(15.4%)에 비해서는 10%포인트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최규권(崔圭權) 한은 국민소득팀 과장은 “2002년에는 신용카드 사용 확대와 부동산 가격의 폭등으로 개인의 소비 성향이 늘어나고 저금리로 인해 저축 유인도 줄었다”며 “이런 가운데 가계 부채와 청년 실업이 증가해 개인의 소득이 줄면서 저축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최 과장은 “2003년에는 신용불량 사태 등으로 소비가 급격히 위축돼 개인 순저축률이 5%대 정도로 회복된 것으로 추산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한국의 국민 총저축률은 32.6%로 전년의 31.3%에 비해 조금 상승했다.

국민총저축률은 1988년 40.5%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 이후 △1990년 37.5% △1995년 36.3% △2000년 33.7% △2001년 31.7%로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 순저축률은 개인이 처분할 수 있는 모든 소득 중에서 소비하고 남은 저축액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국민 총저축률은 국민 총처분 가능 소득 중에서 국민이 소비하고 남은 저축액의 비율로 기업과 정부의 저축까지 포함된다.

박중현기자 sanjuc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