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기업 '윤리 바로 세우기' 나섰다

  • 입력 2001년 2월 15일 18시 41분


‘거래업체에 경조사를 알리거나 경조금을 받으면 안 된다.’

신세계백화점의 ‘기업윤리’ 강령이다. 최근 대기업들이 줄지어 기업윤리를 도입하고 있다. 이미 도입한 기업들은 강도를 높이고 있다.

김우중 전대우그룹 회장의 비리, 동아건설의 분식회계 폭로 등으로 대기업의 윤리문제가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 올 주총에서 시민단체와 소수주주들이 투명경영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전경련도 이런 분위기를 반영해 15일 정기총회에서 발표한 ‘21세기 선진국가 건설을 위한 경제계의 다짐’ 선언문에 ‘투명하고 합리적인 경영’‘주주의 이익 극대화’‘소비자 중시경영’ 등 기업윤리 항목들을 대폭 채택했다.

국내 기업윤리제도 시범케이스로 꼽히는 신세계는 최근 윤리제도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직원들의 선물 또는 금품수수를 액수에 상관없이 완전 금지했으며 협력업체에 경조사를 알리거나 경조금을 받는 것도 금지했다. 협력업체에는 사장 명의로 ‘우리 생활관습에 맞지 않아 결례가 되더라도 이해하고 협력해달라’는 공문을 보냈다.

30대 기업중 기초적인 기업윤리제도인 윤리강령을 채택하고 있는 기업은 3분의 1정도. 삼성 현대 LG SK 신세계 롯데 대한항공 코오롱상사 대림코퍼레이션 아남반도체 등 10개 기업이 윤리강령을 갖고 있다. 구체적 실행지침을 갖고 있는 기업은 LG SK 신세계 아남반도체 등 4개, 별도 사무국을 설치한 기업은 LG와 신세계에 그치고 있다. 500대 기업중 92%이상이 윤리강령 및 실천방안을 채택하고 있는 미국과 비교해볼 때 몹시 저조한 수준.

그러나 최근 기업윤리 도입의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국민신용카드 한국통신프리텔 등이 윤리강령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14일 210여개 협력사 대표들을 대상으로 ‘경영방침 설명회’를 열어 ‘공정하고 깨끗한 거래 관행 정착을 위한 윤리강령’을 선언했다.

재계는 기업윤리제도의 조기 확산을 위해 정부가 실질적인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경련 기업윤리위원회 담당본부장 김석중 상무는 “기업윤리제도 시행기업에 세금감면 세무조사면제 등 실질적 혜택을 줌으로써 기업운영에 이익이 된다는 인식을 심어줘야 도입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중현기자>sanjuc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