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보철강 수습 『우왕좌왕』

  • 입력 1997년 2월 4일 20시 34분


한보철강 고철반입
한보철강 고철반입
[김회평기자] 한보철강 당진제철소 사후처리를 둘러싼 정부의 수습대책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허둥대는 모습이다. 한보부도 열흘이 지난 현재도 정부는 한보철강 경영정상화 방안, 기투자비용의 적정여부, 추가투자액 산정, 코렉스 전기로 등 제철공법의 타당성여부, 완공후 대책 등 어느 것 하나 명쾌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우선 한보철강을 정상화시키는 방안을 놓고 정부내에서 무책임한 얘기들이 뒤섞여 나오면서 혼선을 빚고 있다. 사태초기 합리화업체지정을 검토한다는 얘기가 흘러나왔으나 곧이어 청와대에서 말을 뒤집었고 삼자인수방안은 공기업화쪽으로 갔다가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왔다. 林昌烈(임창렬)재정경제원차관은 4일에도 공기업화방안에 대해 『앞으로 여러방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며 여전히 불투명한 입장을 보였다. 포철 위탁경영방식은 朴得杓(박득표)전포철사장 李大公(이대공)전부사장 등 퇴직자중심으로 꾸려가겠다고 발표했다가 4일 아리송한 배경속에 현직임원들로 전격 교체했다. 가장 한심한 대목은 말로는 『공장완공이 최우선』이라고 누차 강조하면서도 실제 완공대책은 실종됐다는 점이다. 현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완공때까지, 그리고 완공이후의 추가투입비용을 대략이라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통상산업부는 지난달 31일 청와대 긴급경제장관회의에서 『1조원만 더 투입하면 가동에 문제없다』고 자신했다. 그러나 1조원은 사회기반시설(SOC)을 전혀 감안하지 않은 액수. 한보측은 부도직전까지 SOC를 고려하지 않은채 9천억원(발전소비용 2천억원 포함)만 더 들이면 완공할 수 있다고 밝혀왔다. 당장 20만t급의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부두시설이 필요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당진제철소를 연결하는 30∼35㎞정도의 진입도로 건설도 시급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여기에다 완공초기 운전비용 등을 감안하면 앞으로 최소한 2조원이상이 더 투입돼야 하고 공기도 예상보다 훨씬 늦춰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정설이다. 요컨대 한보측 얘기에만 의존해 낙관론만 펴고있는 셈이다. 포철 관련전문가들은 당진제철소가 기초설계부터 제대로 돼있지 않고 냉연공장의 경우 무리하게 6피트 광폭설비를 채택하는 등 복합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완공후의 경쟁력에 대해서도 정부 고위관계자는 4일 『연간 5천억원에 달하는 금융비용이 법정관리로 동결되면 가격경쟁력을 갖추게돼 회생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낙관적인 견해를 보였다. 그러나 제품의 품질이나 판로, 추가비용 조달 등 총체적인 경쟁력를 갖출 지에 대해서는 위탁경영을 맡을 포철도 고개를 젓고 있는 실정이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