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혁명 본보 호외 5건 등 세계기록유산 된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4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4·19 당시 사진 영상 등 각종 기록물
유네스코 자문위서 ‘등재권고’ 판정
신문 자료 6건 중 5건이 본보 호외
동학농민혁명 기록물 185건도 포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될 예정인 1960년 4·19혁명 기록물 중 동아일보 호외들. 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3·15 부정선거 당일, 야당의 선거 무효 선언 등 반발 움직임을 전한 호외(왼쪽 사진)와 4·19 시위 이틀 뒤 총격 등으로 인한 사망자 명단을 실은 호외. 동아일보DB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될 예정인 1960년 4·19혁명 기록물 중 동아일보 호외들. 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3·15 부정선거 당일, 야당의 선거 무효 선언 등 반발 움직임을 전한 호외(왼쪽 사진)와 4·19 시위 이틀 뒤 총격 등으로 인한 사망자 명단을 실은 호외. 동아일보DB
1960년 당시 동아일보 호외를 비롯한 4·19혁명 기록물 1019건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 된다.

문화재청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가 최근 4·19혁명 기록물과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을 심사한 결과 ‘등재권고’ 판정을 내렸다”고 17일 밝혔다. 최종 등재 결정은 다음 달 10∼24일 열리는 유네스코 집행 이사회에서 이뤄지지만 IAC의 등재권고 결정이 뒤집히는 경우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여서 등재가 사실상 확실시된다.

이번에 등재권고 대상이 된 4·19혁명 기록물에는 당시 시위 사진 및 영상 자료, 사상자 기록·수습 조사 활동 자료, 이승만 대통령 사임서, 국무회의 및 정당 자료를 비롯해 1960년 2월 28일 대구 학생집회부터 이 대통령 퇴진까지 혁명의 배경과 진행 과정을 보여주는 기록물이 포함됐다.

신문 자료는 총 6건으로, 이 중 5건이 당시 동아일보 호외다. 나머지 1건은 조선일보 호외다. 동아일보 호외 5건 중 가장 앞선 1960년 3월 15일 본보 호외 ‘선거의 불법·무효선언/민주당 법정투쟁 결의’는 3·15부정선거 당일 불복 투쟁이 본격 시작됐음을 만천하에 알린 것이었다. 본보는 이에 앞서 선거 전날까지 전국 각지에 기자들을 특파해, 자유당의 부정선거 사전 공작을 ‘3·15선거 카르테’라는 제목으로 연일 폭로하기도 했다. 당시 보도로 3·9인조 공개투표, 공무원마다 번호표 10장 확보 운동, 협박에 의한 민주당 선거위원 사퇴, 공개투표 연습 등 부정선거 수법들이 샅샅이 파헤쳐졌다.

4·19 시위 희생자 명단을 공개해 독재 정권의 폭력성을 드러낸 ‘민간인 사망 94명’ 호외(1960년 4월 21일)도 등재권고 기록물 목록에 포함됐다. 호외는 “희생자의 시체는 각 병원에서 유가족들에게 인도 중에 있다”고 전했다. 이 밖에도 본보의 ‘부통령 당선 사퇴 고려’(4월 23일)와 ‘25일부터 야간통금 원상복구, 신문보도 검열제 철폐’(4월 24일) 호외, “국민이 원한다면 대통령직을 사임하겠다”는 이 대통령의 발언이 담긴 ‘이대통령 하야용의 성명/선거도 다시 하겠다’(4월 26일) 호외가 유네스코 기록유산이 된다.

문화재청은 “이번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권고를 통해 4·19혁명이 제3세계에서 최초로 성공한 비폭력 시민혁명인 동시에 유럽의 1968년 혁명, 미국의 반전운동, 일본의 안보투쟁 등 1960년대 세계 학생운동에 영향을 미친 기록유산으로서 세계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홍석률 성신여대 사학과 교수는 “6·25전쟁이 끝난 지 7년밖에 되지 않은 당시 상황에서 4·19혁명은 한국 사회가 이후 군사정권에도 이어진 민주화운동의 동력을 만든 가장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며 “동아일보를 비롯한 국내외 언론은 민주화운동을 확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유네스코 기록유산이 되는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185건으로 당시 조선 정부와 동학농민군, 민간인, 일본공사관 등의 기록이 포함됐다. 동학농민혁명은 1894∼1895년 부패한 지도층과 외세의 침략에 항거하며 보국안민을 내걸고 민중이 봉기한 사건이다. 문화재청은 “등재권고를 통해 조선 백성이 주체가 되어 자유, 평등, 인권의 보편적 가치를 지향했던 기억의 저장소로서 세계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두 유산의 등재가 확정되면 한국은 총 18건의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게 된다. 한편 북한이 신청한 ‘혼천전도’(조선 후기 천문도)도 이번 회의에서 세계기록유산 등재권고 판정을 받았다.


정성택 기자 neone@donga.com


#4·19혁명 기록물 1019건#세계기록유산#동아일보 호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