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갯벌서 조선 왕실 대형 용머리 장식기와 나왔다

  • 뉴시스
  • 입력 2021년 8월 19일 09시 41분


코멘트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태안 청포대 해수욕장 갯벌에서 조선 시대 왕실 관련 건축물의 지붕을 장식하는 용머리 모양의 장식기와와 갑옷을 입은 사람 모양의 장수상을 발굴, 공개한다고 19일 밝혔다.

조선 전기 용마루의 양쪽 끝부분에 올리는 용머리 모양의 장식기와인 취두(鷲頭)가 온전한 모습으로 발굴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는 31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에서 총 4점을 공개한다.

지난 6월 청포대 해수욕장 일대에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발굴조사 중에 찾아낸 취두 1개체(2점)와 지난 2019년 9월 조개를 캐던 지역주민이 같은 장소에서 발견해 신고한 취두의 아랫부분 1점, 한 달 후인 2019년 10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신고지점에서 추가로 수습한 장수상 1점이다.

조선 시대에는 궁궐 등 권위 있는 건축물의 지붕에 제한적으로 취두, 잡상(雜像) 등 장식기와를 사용했다.

용머리 모양의 장식기와인 취두는 주로 위·아래로 나뉜 두 부분 또는 세 부분으로 분리해 만든 다음 지붕에 얹을 때는 쇠못으로 상하를 고정해 연결했다. 잡상은 추녀마루 위를 장식하는 여러 가지 모양의 기와로 장수상을 맨 앞에 배치한다.

발견된 취두는 높이 103㎝, 최대너비 83㎝로 눈을 부릅뜨고 입을 크게 벌린 커다란 용의 머리 위에 작은 용 한 마리와 나선형의 음각선(오목새김한 선)이 표현돼 있다. 용의 얼굴은 입체적이고 사실적이면서도 위엄이 있으며, 움직임에 생동감이 넘치고 비늘이나 갈기, 주름의 표현 역시 정교하다.

이 취두는 중국 명나라(1368~1644년) 사찰인 지화사(智化寺)의 정문(正吻)과 유사하고, 2008년 화재로 소실되기 전 숭례문에 놓인 취두의 형태와 문양이 같은 모습이다.

장수상은 높이 30㎝, 최대너비 22㎝로 몸에 갑옷을 두르고 좌대(座臺)에 앉아서 무릎 위에 가볍게 손을 올린 모습이다. 인물의 움직임에 생동감이 있으며 갑옷 비늘 역시 섬세하게 표현됐다. 경복궁이나 회암사지에서 출토된 조선 전기의 장수상과 형태, 문양 표현 방식 등이 같은 모습이다.

이처럼 뛰어난 기술로 만든 왕실 전용의 장식기와가 태안 앞바다에서 나온 이유는 서울 지역에서 제작된 장식기와를 삼남(충청·전라·경상도) 지역의 왕실 관련 건물에 사용하기 위해 운반하던 중 태안 해역에서 침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발굴 유물 관련 영상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유튜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