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만원 개모차-홍삼사료… 아낌없이 지갑 여는 펫피족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6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토요기획]반려동물 키우는 인구 1000만 시대

서울 강남구 롯데백화점 강남점의 반려동물 컨설팅매장 ‘집사(ZIPSA)’에서 한 고객이 반려견과 함께 매장을 둘러보고 있다.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1000만명을 돌파했다. 특히 반려동물을 위해 아낌없이 지갑을 여는 ‘펫피(펫 피플·pet people)’가 크게 늘고 있다. 동아일보DB
서울 강남구 롯데백화점 강남점의 반려동물 컨설팅매장 ‘집사(ZIPSA)’에서 한 고객이 반려견과 함께 매장을 둘러보고 있다.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1000만명을 돌파했다. 특히 반려동물을 위해 아낌없이 지갑을 여는 ‘펫피(펫 피플·pet people)’가 크게 늘고 있다. 동아일보DB
직장인 김주희 씨(32·여)는 지난달 40만 원을 주고 ‘개모차’(애견용 유모차)를 샀다. 지난해 분양받은 반려견 비숑프리제 ‘루이’와 ‘포이’를 태우고 다니는 용도이다. 개모차에 ‘아이’들을 태워 공원을 산책하거나 애견 헤어숍, 반려동물 용품점 등을 찾는 일은 그에게 요즘 가장 큰 즐거움이 됐다. 김 씨는 “다른 중저가 브랜드의 개모차도 있지만 이게 안전하고 가벼워서 샀다. 나름 ‘명품 개모차’로 통한다”며 활짝 웃었다.

김 씨가 루이와 포이를 먹이고 가꾸는 데 쓰는 비용은 한 달에 25만 원 정도. 홍삼이 들어간 사료와 장난감을 사고 털을 손질해 인형처럼 모양을 내는 미용에 가장 많은 돈이 들어간다. 그는 이달 말 포이의 생일파티를 계획하면서 친구들 음식보다 이들이 데려올 반려견들의 간식 준비에 더 공을 들이고 있다. 김 씨는 “프리미엄 패딩 브랜드 ‘몽클레르’에서 반려견용 옷이 나와서 올겨울엔 이 ‘멍클레르’ 패딩을 사줄 계획”이라며 “나한테 쓰는 돈을 줄여서라도 우리 아이들에게 더 좋은 걸 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1000만 명을 돌파하면서 반려동물을 위해 아낌없이 지갑을 여는 ‘펫피(펫 피플·pet people)’가 크게 늘고 있다. 이들을 겨냥한 ‘펫코노미’(펫과 이코노미의 합성어) 시장도 빠른 속도로 커지고 있다.

○ 반려동물에 활짝 열린 ‘펫피’족의 지갑

8일 삼성카드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회원 6만4000명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들이 반려동물 관련 매장에서 긁은 월평균 카드 사용액은 5만1000원으로 집계됐다. 2013년(3만5700원)에 비해 42.8% 급증했다.

반면 이들이 본인을 위해 쓴 미용비용은 2013년 2만9200원에서 2015년 3만3300원으로 늘었다가 지난해엔 2만9800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경기침체 등의 여파로 본인을 꾸미는 데 들인 미용비용은 줄였지만 반려동물에게는 더 지갑을 열었다는 의미다. 배한성 삼성카드 커뮤니티센터장은 “이번 통계에 대형마트 등에서 반려동물 용품을 구매한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며 “이를 더하면 반려동물을 위해 쓴 돈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원 씨(33·여)도 4년 전 유기견센터에서 데려온 믹스견 ‘깜리’를 애지중지 키우고 있다. 비싼 용품을 사는 건 아니지만 식비부터 장난감까지 들어가는 돈이 적잖다. 김 씨는 “사료와 간식비로만 매달 5만 원 정도를 쓰고, 꼭 필요한 예방접종과 털 손질 비용까지 더하면 한 달에 10만 원 이상은 나간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깜리에게 받는 사랑으로 따지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직장인 김지혜 씨(32·여)는 6년 차 ‘집사’다. 2012년부터 터키시 앙고라종 고양이 ‘보리’를 키우기 시작했다. 그가 가장 신경 쓰는 것은 보리의 건강. 1년에 한 번씩 건강검진을 받게 하고 치석도 제거해준다. 두 달에 한 번씩은 3만 원짜리 ‘스크래처’를 새로 산다. 스크래처는 사물을 긁는 고양이의 습성을 해소하도록 만든 고양이용 장난감으로, 그가 출근한 뒤 혼자 지내는 보리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마련해주는 것이다.

김 씨는 최근 동물병원에서 보리에게 10만 원이 넘는 유전자 검사를 받게 했다. 유전 질환이 있는지 점검하기 위해서였다. 김 씨는 “사람은 아프면 표현할 수 있지만 동물은 그럴 수 없으니 미리 챙기려는 것”이라며 “아프지 않게 돌보는 것이 보리를 위해 해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이 소비로”

반려동물 고양이를 위한 백일잔치 장면. 백일상에는 축하 케이크와 액땜을 하라는 의미로 백설기가 올라와 있다. 동아일보DB
반려동물 고양이를 위한 백일잔치 장면. 백일상에는 축하 케이크와 액땜을 하라는 의미로 백설기가 올라와 있다. 동아일보DB
펫피족이 이처럼 반려동물에게 아낌없이 지갑을 여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도 애완동물 대신 반려동물이라는 단어가 보편화된 것처럼 기르는 동물을 가족처럼 보호하고 더불어 살아가야 할 반려자라고 보는 인식이 확산됐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삼성카드 회원들이 지난해 ‘펫카페’에서 쓴 돈은 2013년 대비 8배를 웃돈다. 이웅종 연암대 교수(이삭애견훈련소 대표)는 “이 수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단순히 반려동물에게 쓰는 돈만 늘어난 것이 아니라 같이 보내는 시간이 늘어났다는 증거”라며 “애완견이 반려견으로 바뀐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분석했다.

반려동물에게 쓰는 돈이 결국은 ‘본인을 위한 소비’라는 해석도 있다. 반려동물에 대한 소비가 주인의 심리적인 결핍을 일부 채워준다는 것이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기본적으로 약한 대상을 위해 베푸는 것이 인간이 본능적으로 가진 심리”라며 “여기에다 요즘 반려동물에게 특별한 것을 해주면 주변에서 이를 긍정적으로 본다. 여기서 오는 ‘인정의 만족감’이 있다”고 설명했다.

1인 가구, 맞벌이 가정이 늘면서 반려동물에게 더 큰 애착을 느끼는 펫피족이 늘어난다는 분석도 나온다. 윤가현 전남대 심리학과 교수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들이 심리적 정서적 결속, 즉 ‘애착’을 더 강하게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반려동물과의 애착이 결국 소비로 이어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가족 규모가 작아지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인간관계도 갈수록 좁아지고 단순해지고 있다. 이런 인간관계의 변화도 반려동물과의 결속을 강하게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반려동물 관련 제품이나 서비스가 갈수록 다양해지고 고급화되는 것도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웅종 교수는 “반려동물과 함께 갈 수 있는 곳도, 반려동물을 위해 살 것도 아주 많아졌다. 좋은 것을 보면 사주고 싶은 마음이 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쑥쑥 크는 ‘펫코노미’ 시장

펫피족이 아낌없이 지갑을 열면서 반려동물 관련 산업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농협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반려동물 시장은 2014년 1조4300억 원에서 2016년 2조2900억 원으로 증가했고, 올해는 3조6500억 원 규모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에는 5조8100억 원 규모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추정됐다.

반려동물 관련 산업이 커지자 애완동물(Pet)과 경제(Economy)를 조합한 ‘펫코노미’라는 신조어도 만들어지면서 극심한 경기 침체의 돌파구를 찾는 기업들에 블루오션으로 대접받고 있다.

신세계, 롯데, 빙그레 같은 대기업들은 이런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생활용품 브랜드 ‘자주’는 지난달 초 반려동물 용품 브랜드 ‘자주 펫’을 선보였다. 이마트도 ‘몰리스펫샵’을 열고 사료와 간식 등 먹거리부터 분양·미용·숙박에 이르는 서비스상품을 판매 중이다. 롯데백화점도 올해 초 반려동물 컨설팅 매장 ‘집사’를 만들었다. 빙그레는 최근 반려견 전용 우유를 개발해 펫푸드 시장에 뛰어들었다. 빙그레 관계자는 “건국대 수의대와 손잡고 반려동물 전용 유산균주를 만들어 특허를 얻었다”고 소개했다.

참신한 아이디어와 첨단 정보기술(IT)로 무장한 ‘펫 스타트업’도 빠르게 늘고 있다. ‘21그램’은 국내에 정식으로 등록된 동물 장례업체 26곳을 반려인들에게 연결해주고 있다. 장례비용 결제부터 유골함 같은 장례용품 구매까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할 수 있다.

‘페오펫’은 반려동물을 분양할 때 문제가 됐던 불투명한 거래 구조를 개선했다. 반려동물 전문 양육사와 반려인을 연결해주고 양육사의 정보와 강아지 건강상태 등을 공개해 안심하고 반려동물을 분양받을 수 있게 했다. ‘골골송작곡가’는 반려묘의 배설물을 청소해주는 ‘라비봇’을 개발했다. 이 로봇은 반려묘 화장실 청소뿐 아니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배설 횟수, 시간, 모래 저장량 등을 관리해준다.

김성모 기자 mo@donga.com
#펫피족#반려동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