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손효림]연극 배우의 삶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2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우아, 정말 좋으시겠어요!”

손효림 문화부 기자
손효림 문화부 기자
꽤 오래전, 해외 봉사 취재에서 만난 약사와 통성명을 하다 무심코 튀어나온 말이었다. 전문 분야가 확실한 데다 자기 소유의 약국을 갖고 있으니 매우 탄탄한 직업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한 말이었다. 그러고는 30분 넘게 ‘약사의 애환’에 대해 들어야 했다. 그는 혼자 약국을 운영하느라 화장실을 제때 가기 힘들고 점심도 10분 만에 후다닥 먹기 일쑤라고 했다. 다른 약국과 박카스 가격을 비교하며 “여기는 왜 다른 데보다 비싸게 받느냐”고 항의하는 손님이 적지 않아 애를 먹는다고 했다. 자신을 의료인이 아니라 단순히 약을 ‘건네주는’ 사람으로 취급할 때면 자괴감을 느끼게 된다고 토로했다. 그의 말을 들으며 세상에 애환 없는 직업은 없다는 사실을 또 한번 실감하게 됐다.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면서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부모가 자기의 일을 자녀에게 권한다면 그건 좋은 직업이라고. 직접 그 일을 해 본 후 자녀에게도 같은 길을 걸으라고 말할 정도로 자신 있다면 얼마나 장점이 많은 걸까. 그 기준이 세속적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말이다.

연극배우는 고되고 힘든 대표적인 직업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연극을 하다 방송, 영화계로 진출해 스타가 된 이들이 인터뷰나 토크쇼 등에서 돈에 쪼들렸던 연극배우 시절을 회상하는 이야기를 듣다 보면 마음이 찡해질 때가 종종 있다.

최근 연극배우들을 만나면서 일의 가치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됐다. 영화 ‘부산행’, 드라마 ‘공항 가는 길’ 등에도 출연한 유명 연극배우 예수정 씨는 “대개 삶을 찬찬히 들여다볼 시간이 없는데, 나는 한 작품 한 작품 할 때마다 인생에 대해 공부하게 된다. 연극이 나를 학습시키고 삶을 풍부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연희단거리패 대표인 배우 김소희 씨는 “연극 덕분에 고여 있지 않고 늘 깨어 있게 된다”고 했다. 김 씨는 “연극은 자신은 물론이고 다른 사람에게도 의미 있는 일을 하는 게 가능하다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몸만 건강하면 계속 연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우는 말년이 좋은 직업이다”라며 환하게 미소 지었다.

‘조씨 고아, 복수의 씨앗’에 출연한 이형훈 씨도 매번 작품을 할 때마다 새로운 이야기와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 자극을 많이 받는다고 했다. 그래서 채우고 다듬어야 할 부분을 찾아내고 이를 완성하기 위해 애쓰게 된단다.

이들이 ‘좋은 직업’으로 꼽은 기준은 성장이었다. 이 일을 계속하면 내일의 나는 오늘의 나보다 좀 더 나아질 것이라는 굳건한 믿음이 엿보였다.

돈, 명예, 안정성, 성취감…. 좋은 직업을 꼽는 기준은 사람마다 제각각이다. 많은 것을 얻을수록 좋겠지만, 그중에서도 ‘성장’은 정신을 살찌우는 요소다. 연극배우들은 물질적으로는 넉넉하지 않지만 정신이 윤택해지는 일을 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줬다. 이들이 차곡차곡 쌓아올린 정신적 풍요로움은 객석으로도 고스란히 전해질 것이다.

손효림 문화부 기자 aryssong@donga.com
#연극배우#예수정#연희단거리패#좋은 직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