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北의 남침 징후 감지하고 사전에 대비”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7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남정옥연구원 ‘이승만 포럼’서 주장
“美에 지원 요청했지만 거부 당해”

6·25전쟁 당시 눈 속에서 행진하는 국군. 이명동 ‘월간 사진예술’ 고문 제공
6·25전쟁 당시 눈 속에서 행진하는 국군. 이명동 ‘월간 사진예술’ 고문 제공
6·25전쟁 개전(開戰)은 ‘국군 장병들이 휴가와 외출·외박을 간 틈에 공산군이 기습 남침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자연스럽게 전쟁 발발 가능성에 미리 대비하지 못한 당시 군의 무능으로 연결된다.

이승만 정부와 군 수뇌부가 무방비로 당했다는 통념을 반박하는 주장이 나왔다. 남정옥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건국이념보급회가 이승만 전 대통령 50주기(19일)를 사흘 앞두고 16일 주최한 ‘제52회 이승만 포럼’에서 “6·25전쟁 이전 한국 정부와 군은 사전에 남침 징후를 감지하고 계획성 있게 전쟁에 대비해 나갔다”고 말했다.

남 책임연구원은 “이승만 정부는 1948년부터 청년단을 통합해 군사훈련을 시켰고, 청년방위대와 학도호국단을 조직했다”며 “미국에도 전차와 전투기 지원 및 상호방위동맹을 요청했지만 미국의 소극적인 대한(對韓) 정책 탓에 모두 거부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6·25전쟁 10대 불가사의’에 대한 반론도 제기했다. 이는 고 이형근 전 육군참모총장이 1993년 회고록에서 제기한 문제로 ‘북한군의 남침 징후를 육군본부가 무시·묵살했다’ ‘전쟁 직전 대규모 인사이동을 했다’ 등 당시 정부와 군이 무능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해 왔다.

남 책임연구원은 “1949년 12월 육본은 ‘1950년 봄 적이 38도선에서 전면 공격을 할 것’이라는 정보국 보고에 의거해 국군 방어계획을 수립하고 1950년 3월 시행토록 했다”며 “나머지 ‘불가사의’도 남북의 전력 격차를 간과한 채 (전쟁 초기의 패퇴라는) 결과에 전후 상황을 짜 맞춘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미국 정보기관도 전면전은 예측하지 못한 가운데 개전일이 6월 25일이라는 것은 김일성과 스탈린만 알고 있었다”며 “전쟁 당시 이승만 정부의 노력은 당시 상황으로 볼 때 최선에 가깝다”고 말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