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흥사 터 청동여인상은 ‘마야부인’?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2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낯선 자세와 복식… 가능성 높아”
“아기 부처상 없어 무리한 추정”

충남 부여 왕흥사 터에서 출토된 소형 청동 인물상.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제공
충남 부여 왕흥사 터에서 출토된 소형 청동 인물상.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제공
석가모니의 어머니인 마야부인(摩耶夫人)으로 추정되는 청동상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출토됐다.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배병선)는 20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충남 부여군에 있는 왕흥사(王興寺) 터에서 지난해 발굴조사를 벌인 결과 소형 청동 인물상을 찾았다”고 밝혔다. 6세기 백제시대 사찰인 왕흥사 터는 2007년에 위덕왕(威德王·554∼598)이 577년 죽은 왕자를 위해 봉안했다는 명문이 있는 사리기(舍利器)가 나와 큰 화제를 모았다.

출토된 인물상은 높이 6cm의 소형 유물이나, 지금까지 국내에선 발견된 적이 없는 자세와 복식이 눈길을 끈다. 오른손을 머리 위로 올리고 발밑까지 내려오는 주름치마를 입었는데, 마야부인일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배 소장은 “마야부인 상이 맞을 경우 네팔과 파키스탄, 일본엔 부조상이나 불상이 여럿 전해지나 한반도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된 문화재”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청동상을 마야부인으로 보기는 다소 무리라는 견해도 있다. 마야부인은 룸비니 동산에서 무우수(無憂樹) 가지를 붙잡고 오른쪽 겨드랑이에서 석가를 낳았다고 전해진다. 때문에 해외 마야부인 상은 나뭇가지를 붙잡았거나 애기(부처)가 함께 등장한다. 이번에 나온 청동상은 자세는 엇비슷하지만 나무와 부처는 찾지 못했다.

다만 이 청동상은 두상이 몸체에 비해 큰 데다 옷차림을 표현한 기법으로 미뤄볼 때 삼국시대 한반도에서 만들어진 것은 분명해 보인다. 강순형 국립문화재연구소장은 “출토된 지층의 깊이를 감안하면 왕흥사 창건 시절 제작된 인물상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