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죽음 만물박사들 가라사대…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삶을 위한 죽음 오디세이
본고리샤르 벨리보, 드니 쟁그라 지음·양영란 옮김/272쪽·2만5000원·궁리

독일 화가 한스 발둥(1484∼1545)의 1510년 작 ‘인생의 세 시기와 죽음’. 16세기 북유럽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발둥은 신앙과 인간의 욕망, 삶과 죽음을 소재로 그로테스크한 분위기의 작품을 주로 선보였다. 모래시계를 든 사신(死神)이 노년기 여성의 팔짱을 낀 모습이 자못 의미심장하다. 스페인 프라도미술관 소장. 궁리 제공
독일 화가 한스 발둥(1484∼1545)의 1510년 작 ‘인생의 세 시기와 죽음’. 16세기 북유럽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발둥은 신앙과 인간의 욕망, 삶과 죽음을 소재로 그로테스크한 분위기의 작품을 주로 선보였다. 모래시계를 든 사신(死神)이 노년기 여성의 팔짱을 낀 모습이 자못 의미심장하다. 스페인 프라도미술관 소장. 궁리 제공
“인간의 운명은 죽음으로 귀착된다. 내게 닥칠 일이 통상적이며 내 운명이 다른 사람들의 운명과 같다면 무엇 때문에 슬퍼해야 한단 말인가.”(중국 도교서 ‘열자’ 중에서)

“나는 작품 덕분에 불멸에 도달할 마음이라고는 없습니다. 그저 죽지 않음으로써 불멸에 도달하고 싶을 따름이라고요.”(미국 영화감독 우디 앨런)

죽음은 참 애매하다. 잘났건 못났건, 잘살건 못살건 누구에게나 공평하나 막상 자신이나 주위에 다가오면 그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하기야 현실에서 ‘정말’ 모두 죽음 앞에 평등한가도 고개가 갸우뚱거려진다. 어쨌든 대놓고 영원을 욕망하기도 멋쩍지만 선각자처럼 덤덤하기도 어렵다. 그러다 보니 짐짓 모른 체하다가도 가끔은 스멀스멀 불안이 피어오른다.

그런데 저자들은 스윽 회피하며 살던 고개를 부여잡고 정면을 응시하라고 눈을 부라린다. 캐나다 퀘백대 생화학과 교수와 분자의학연구소 종양과 연구원인 두 학자는 “인간은 무지 때문에 죽음에 대한 절망과 두려움이 생겨난다. 죽음의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이를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과연? 호언장담하는 이들치고 사기꾼이 많은데. 마음 한구석 답답함을 풀 수 있다니 속는 셈치고 따라가 보자.

근데 이 양반들, 뭔가 위로나 안식을 주는 말은 하나도 없다. 그냥 말 그대로 죽음을 꼼꼼히 들여다본다. 늙거나 병들어 죽고,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독이 퍼져 죽고, 자살 혹은 처형당해 죽는 여러 죽음의 방식을 하나하나 짚어간다. 심지어 벼락사까지 거론한다. 끝내는 사망한 뒤 인간의 육체가 어떤 과정을 거쳐 부패하는지도 덧붙였다. 뭐야, ‘여러분은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죽습니다’. 죽음 백과사전이라도 쓸 기세다. 그런데 이 담담한 과학적 탐구 속에서 묘한 메시지가 아지랑이처럼 가슴을 휘감는다.

이를테면 이런 거다. 인간을 포함한 생물이 세포 번식을 통해 진화해왔다는 건 누구나 알 터. 한데 만약 최초의 세포가 자신의 에너지를 번식 능력이 아니라 본인 생명 연장에 몽땅 써버렸다면 우리는 이 땅에 태어날 수 없었을 것이다. 즉, 생물의 삶이 이어진 건 초기세포가 자손을 위해 죽음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죽음은 삶을 일구는 밑거름이었다.

죽음 인지능력이 생물적 본능이란 대목도 흥미롭다. 돌고래나 침팬지, 코끼리는 숨진 동료 곁을 며칠씩 지키며 ‘애도 기간’을 갖는다. 이런 본능이 최상위 동물인 인간에게 사후세계를 고민하게 했고, 결국 종교의 탄생을 이끌었다는 것. 터키에 있는 인류 최초의 사원 ‘괴베클리 테페’가 인류의 첫 도읍보다 1만2000여 년 앞서 세워졌다는 지적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어쩌면 인류는 삶보다 죽음을 먼저 지각했을지도 모른다.

암에 대한 시각도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 사실 암은 각기 다른 200여 종의 질병을 뭉뚱그려 부르는 명칭. 이들은 모두 세포가 통제 불가능한 수준으로 성장하는 공통점을 지녔다. 흔히 암을 ‘싸워 무찔러야 할 질병’으로 표현하지만 암세포 입장에선 원초적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뜻한다. 인체 시스템이 아닌 오로지 자신의 본능에 충실하게 움직이는 것이다. 어쩌면 환자가 암을 의지로 극복했다는 식의 미담은 실체적 본질은 놓친 채 인간의 정신을 너무 과하게 상찬하는 부조리를 낳고 있는 게 아닐까.

죽음과 관련한 소소한 상식들도 알차다. 요즘 보톡스로 각광받는 ‘보툴리누스균’은 생명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독이라 함부로 즐길 게 아니다. 목을 매달면 폐로 주입되는 공기가 차단되는 게 아니라 뇌와 다른 신체를 잇는 혈관에 치명적 손상을 입어 목숨을 잃는다. 또 암 질환 가운데 약 15%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시작된단다.

물론 저자들처럼 죽음 만물박사가 될 필요는 없다. 하지만 그들을 따라 여정을 걷다 보면 죽음을 혐오나 기피 대상으로 여기던 선입견이 차츰 옅어진다. 하긴 삶이라는 동전의 뒷면은 죽음인 것을. 저자들이 마지막 장을 ‘죽음과 유머’로 채워 넣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죽음을 제대로 바라봐야 삶의 어떤 순간도 낭비해선 안 된다는 걸 깨닫는다. “가장 커다란 수수께끼는 죽음이 아니라 삶”(프랑스 소설가 앙리 밀롱 드 몽테를랑)이니까.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죽음#암#육체#초기세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