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s/전우영의 영화와 심리학]‘내 탓이오 vs 네 탓이오’ 어느 쪽이 정신건강에 좋은가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3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내 깡패 같은 애인’의 세진과 동철

“그래도 우리나라 백수 애들은 착혀. 거 테레비에서 보니까 그 프랑스 백수 애들은 일자리 달라고 다 때려 부수고 개지랄을 떨던데. 우리나라 백수들은 다 지 탓인 줄 알아요. 응? 지가 못나서 그런 줄 알고. 아유, ××들 착한 건지 멍청한 건지. 다 정부가 잘못해서 그런 건데. 야, 너도 너 욕하고 그러지 마. 취직 안 된다고. 응? 니 탓이 아니니까. 당당하게 살어. 힘내 ××.”

김광식 감독의 2010년 작 ‘내 깡패 같은 애인’에는 삼류 깡패 동철(박중훈)이 등장한다. 그는 업계에서 퇴물이 된 지 오래다. 무늬만 깡패지 일반인과 싸워도 얻어터지기 일쑤다. 그의 삶에서 ‘열심’이나 ‘성실’이란 단어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런 그가 노력하면 결국 이뤄질 거란 생각으로 열심히 살고 있는, 하지만 아직 취직하지 못한 옆집 여자 세진(정유미)에게 위로랍시고 한마디 해준다.

동철의 말대로 세진이 취직하지 못한 건 정말 정부의 잘못일까? 아니면 세진이 못났기 때문일까? ‘실업’이라는 사건이 벌어진 이유에 대해 일반적인 백수들과 동철의 분석은 아주 다르다. 백수들은 모두가 자기 탓이라고 생각하지만, 동철은 문제의 핵심이 백수 자신이 아닌 외부에 존재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내 탓이오? 네 탓이오?

어떤 사건이 발생하면 사람들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왜 그런 일이 벌어졌는지, 즉 그 사건의 원인은 무엇인지를 추론한다. 이를 ‘귀인(歸因)’이라고 한다. 귀인은 원인을 어디로 돌릴지 판단하는 과정이다.

사람들이 귀인을 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능력이나 노력과 같은 개인의 내적 요인에서 원인을 찾는 것이고(내부 귀인), 다른 하나는 그 원인을 상황이나 환경과 같은 외부에서 찾는 것이다(외부 귀인). 한국 야구대표팀이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1라운드에서 탈락한 이유를 선수들의 실력 부족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내부 귀인이다. 반면 심판의 불공정한 판정 때문이라고 여기는 것은 외부 귀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귀인에 대한 여러 연구결과에서 발견된 흥미로운 사실이 하나 있다. 귀인 방식이 국가나 문화에 따라 상당히 다르다는 것이다. 한국, 중국, 일본처럼 집단주의 문화권에 사는 사람들은 자신에게 일어난 긍정적 사건에 대해 외부 귀인의 경향을 강하게 나타낸다.

미스코리아 진에 뽑힌 뒤 “미용실 원장님 덕분”이라며 눈물까지 글썽이는 모습은 유독 집단주의 문화에서만 자주 관찰되는, 전형적인 외부 귀인이다. 반대로 자신에게 일어난 부정적 사건에 있어서는 자기 자신에게 책임을 돌리는 내부 귀인 성향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취직하지 못하는 게 자신의 능력이 모자라서, 또는 노력이 부족해서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미국과 유럽을 포함한 개인주의 문화권의 귀인 방식은 이와 정반대다. 그들은 긍정적 사건은 자신에게서, 부정적인 일은 외부에서 원인을 찾는다.

서양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은 자신이 올림픽을 위해 얼마나 강도 높은 훈련을 소화했는지를 주로 설명한다. 자신의 노력과 실력이 메달 획득의 결정적 요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들은 그러나 자신의 삶이 곤경에 처하게 된 이유는 정부의 정책 실패나 글로벌 경기 불황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가끔은 자신에게 관대해지길

한국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 이유는 외부에서 찾고, 실패 이유는 자신에게서 찾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 같은 성향은 겸손의 미덕으로 보이기도 하고, 자기발전의 계기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부정적 결과를 지속적으로 내부 귀인하도록 요구하는 문화는 치명적 결과를 불러오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한 해 동안 자살하는 사람은 1만5000명에 이른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살 사망률이 가장 높은 나라다. 특히 20대의 사망 원인 중 자살이 차지하는 비율이 40%가 넘고, 30대에서도 자살은 사망 원인 1위다. 이들의 주요 자살 동기는 대부분 삶에 대한 비관이다. 도대체 무엇이 이 나라 청년들을 자살로 몰아가는 것일까.

‘내 깡패 같은 애인’의 세진은 열심히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공정한 사회에 대한 믿음을 가진 젊은이다. 실제 그녀는 능력과 노력 면에서 그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 하지만 현실은 가혹하다. 가까스로 면접을 보러 가더라도 여성이고, 지방대학 출신이라는 것 때문에 그녀는 제대로 된 질문조차 받지 못한다. 어떤 면접관은 손담비의 ‘토요일 밤에’를 춤추며 불러 보라고 해놓고 키득거리기까지 한다. 이런 상황에서 그녀에게 취업 원서를 낸다는 것은 한 번 더 좌절을 맛보기로 결심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리고 이런 상황은 개선의 여지없이 매번 반복되기만 한다.

이때 실패의 원인을 내부에서만 찾으면 수치심이 증대되고 자존감이 고갈될 뿐이다. 수치심은 자살 시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감정 중 하나다. 따라서 세진이 처한 것과 같은 상황에서 실패에 대한 내부 귀인은 자기 파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내 탓이오”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태도는 존경할 만하다. 그렇지만 가끔은 스스로에게 “너는 잘못이 없다”고 다독여줄 필요도 있다. 지금처럼 개인의 노력이 너무도 쉽게 좌절되는 시절에는 특히나 그렇다. 요즘 같은 세상에는 삼류 깡패 동철의 외부 귀인 방식이 오히려 필요할 수도 있다.

전우영 충남대 교수(심리학) wooyoung@cnu.ac.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