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 세계무대 주역 디딤돌 놓다

  • Array
  • 입력 2010년 11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건축가 승효상-김영준 씨 작품 자료, 뉴욕 현대미술박물관에 영구 소장

“의미 깊지만 작은 실마리다.” 한국 건축가로는 처음으로 미국 뉴욕 현대미술관(MoMA) 건축부문 영구보존 컬렉션 기획전에 초청된 승효상(오른쪽) 김영준 씨의 소감은 같았다. 두 사람은 “고생하는 후배들에게 길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의미 깊지만 작은 실마리다.” 한국 건축가로는 처음으로 미국 뉴욕 현대미술관(MoMA) 건축부문 영구보존 컬렉션 기획전에 초청된 승효상(오른쪽) 김영준 씨의 소감은 같았다. 두 사람은 “고생하는 후배들에게 길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한국 건축이 처음으로 미국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 입성한다. MoMA는 10일부터 2011년 5월 30일까지 열리는 건축 부문 컬렉션 기획전에 승효상 이로재 대표(58)의 경기 남양주시 ‘수백당(守白堂)’과 김영준 yo2건축 대표(50)의 경기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 예술마을 ‘자하재(紫霞齋)’ 등 두 점의 주택작품 모델과 스케치 등 관련 자료를 전시한다. 1929년 설립된 MoMA는 1939년부터 해마다 세계의 중요 건축물을 선정하고 건축가로부터 해당 작업의 드로잉과 모델 등을 받아 일정 기간 전시한 뒤 박물관에 영구 소장하고 있다. 미디어아티스트 백남준의 작품을 비롯해 설치작가 양혜규 씨, 화가 이우환 씨 등 한국 예술가의 작품이 MoMA 컬렉션에 영구 소장된 경우는 있지만 건축 부문 컬렉션 선정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시 오프닝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8일 미국으로 떠난 두 사람을 출국 전날 밤 서울 종로구 동숭동의 이로재 사무실에서 만났다.》

김 대표는 “처음에는 그냥 요즘 가끔 외국에서 열리는 한국건축 기획전의 하나라고 생각했는데 주변에서 대단한 일이라고 얘기해서 새삼 ‘그런가 보다’ 하고 있다”며 웃었다.

“‘자하재’ 건축주인 박찬욱 감독이 ‘영화가 인정받아야 하는데 사는 집이 먼저 인정받았다’고 축하해 주더라. 하하. 함께 거주하고 계신 박 감독의 아버님(박돈서 전 아주대 공대 학장)이 더 기뻐하셨다.”

승 대표는 “2003년 민현식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와 함께 했던 펜실베이니아대 초대전이나 올 1월 김승회 서울대 교수와 동행한 하버드대 건축전과는 의미가 크게 다르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국 건축은 엄청난 산업적 물량에도 불구하고 세계 건축계에서는 변방에 머물고 있다. 선배로서 ‘한국 건축을 위해 뭘 했나’ 후배들에게 욕먹을 걱정이 갈수록 커지는데…. 조금은 마음이 홀가분하다.”

승효상 씨의 ‘수백당’(위)과 김영준 씨의 ‘자하재’는 외형적인 꾸밈을 자제하고 여백의 묘를 넉넉히 살려 주변환경을 공간 속으로 끌어들였다. 사진 제공 이로재·yo2
승효상 씨의 ‘수백당’(위)과 김영준 씨의 ‘자하재’는 외형적인 꾸밈을 자제하고 여백의 묘를 넉넉히 살려 주변환경을 공간 속으로 끌어들였다. 사진 제공 이로재·yo2
이번 전시는 지난해 3월 MoMA의 건축 부문 수석큐레이터인 배리 버그돌 컬럼비아대 건축사학과 교수(55)가 처음 한국을 찾은 것이 계기가 됐다. 컬럼비아대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미술평론가 김영준 씨가 다리를 놓았다. 버그돌 큐레이터는 건축평론가인 배형민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와 함께 3박 4일 동안 경북 안동시 병산서원, 영주시 부석사, 서울 종묘 등 고건축과 경기 파주시 출판단지, 서울의 인사동과 강남 오피스빌딩 지역 등 현대건축을 살피며 한국건축을 두루 답사했다. 김영준 씨는 “(버그돌 교수가) 한국 사람의 관심을 끄는 기괴한 형상의 외국풍 건물에는 별 관심이 없어 보였다”며 “전통적 건축 문법을 현대적으로 유연하게 재해석하고 실물에 적용한 사례를 찾고 싶어 했다”고 말했다.

1998년 완공된 수백당은 여러 개의 마당을 건물과 담으로 나눠 배치한 지하 1층, 지상 2층, 총면적 200m²의 소박한 주택이다. 침실과 작업실 등 두 개의 실내 공간과 일곱 개의 텅 빈 정원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승 대표의 일관된 건축적 화두인 ‘빈자(貧者)의 미학’을 구현했다. 2005년 지어진 총면적 327m² 규모의 2층 철근콘크리트 집 자하재도 용도를 규정하지 않은 실외공간을 넉넉히 마련해 건물 자체의 외양보다는 주변 환경과의 어우러짐에 초점을 둔 건물이다. 설계자인 김영준 대표는 “여백과 대화하는 듯한 한국적 공간의 분위기와 아울러 서구와 달리 두 세대가 함께 머무는 집이라는 배경도 흥미롭게 여겨진 듯하다”고 했다.

승 대표는 “어떤 개인의 건축 경력과 작업이 인정받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저평가된 한국 건축의 역량이 세계 건축계의 주무대에 본격적으로 소개되는 작은 디딤돌로 볼 수 있지 않을까. 늦게나마 첫발을 디디게 됐다는 생각에 가슴이 벅차다”고 말했다.

손택균 기자 soh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