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갈피 속의 오늘]1997년 출판인 한창기 선생 타계

  • 입력 2009년 2월 3일 02시 58분


잡지의 틀을 바꾸다

“사람들이 우리 옛것을 낡은 것으로 생각해서 업신여기던 시대에 한창기 선생은 우리 옛것, 우리 문화를 아끼고 그 가치를 높이 샀던 분이다.”(시인 장석주)

그는 전통문화에 관한 한 제대로 갖추기 위해 누구보다도 까다로웠던 사람이다. 제대로 된 모시적삼은 아낌없이 제값을 지불했다. 제대로 차린 한식, 제대로 지은 한옥, 명맥이 끊길 위기에 처한 전통 옹기, 유기 칠첩반상기를 찾아 전국을 누비곤 했던 이 사람. 순우리말 잡지 ‘뿌리 깊은 나무’를 만든 한창기 씨다.

그는 1937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광주고를 나온 뒤 서울대 법대에 들어갔다. 그러나 고시공부에는 뜻이 없었다. “그는 스스로 엘리트라 여겼고, 변호사나 판사보다 더 중요한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죽마고우 박오규 씨)

1963년 브리태니커에 입사해 백과사전 판매에 나섰다. 실적이 좋았다. 68년엔 본사에 서울지점 개설을 요구해 허락을 받아냈고 ‘뿌리 깊은 나무’의 전신인 ‘배움나무’를 본사 자금으로 창간하기에 이르렀다.

드디어 1976년 3월 ‘뿌리 깊은 나무’를 창간했다. 긴 잡지 제목, 한글 전용과 가로쓰기, 큰 판형. 그는 잡지 편집의 틀과 내용을 완전히 새로 세웠다. 550원짜리 창간호의 표지는 굵게 옹이진 두 손이 쌀알을 한가득 안고 있는 ‘무거운’ 사진이었다. 당시 잡지계의 금기를 모조리 깬 것이었다.

그는 창간사의 끝을 이렇게 마무리했다. “창조는 역사의 물줄기에 휘말려 들지 않고 도랑을 파기도 하고 보를 막기도 해서 그 흐름에 조금이라도 새로움을 주는 일이겠습니다. ‘뿌리 깊은 나무’는 그 이름대로 오래디 오랜 전통에 깊이 뿌리를 내리면서도 바로 이런 새로움의 가지를 뻗는 잡지가 되고자 합니다.”

막 나온 잡지를 살펴보다가 원래 위치에서 0.2mm쯤 떨어진 마침표를 보고 노발대발하고 오타가 나면 “다 총살시켜버리겠다”며 분을 참지 못하는 이가 그였다.

하찮게 여겼던 우리 문화를 맛깔스럽게 차려 놓았던 잡지는 5년을 채 넘기지 못하고 1980년 신군부에 의해 강제 폐간되고 만다. 계급의식 조장, 사회불안 조성이 이유였다.

이후 그는 ‘샘이 깊은 물’을 창간하고 ‘한국의 발견’ ‘판소리 전집’ ‘민중 자서전’을 펴내는 등 전통문화를 되살리는 데 혼신의 힘을 쏟았다. 독신으로 살며 한글, 한복, 한옥, 한식, 우리 가락에 빠져 지냈던 그는 1997년 2월 3일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60년 짧은 생이었다.

조이영 기자 ly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