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빛 찬란한 여름밤 20선]<13>망원경으로 떠나는 4백년의 여행

  • 입력 2007년 8월 30일 04시 45분


코멘트
《천문학자들은 신비스러운 우주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려는 열정만 갖고 연구하는 게 아니라 누구보다 먼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려는 욕심을 갖고 연구한다. 따라서 천문학자들은 자신들이 사용하는 망원경에 몹시 민감하다. 즉, 자신이 쓰는 망원경이 가장 좋은 망원경이어야만 하는 것이다.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경쟁의식으로 최고의 망원경을 만들어 왔다.―본문 중에서》

천문학자는 왜 거대 망원경에 집착할까

망원경 없는 천문학은 시장 없는 경제학이고 여당 없는 대통령이다. 천문학은 ‘그저 바라보기만 할 뿐’ 어쩔 도리 없이 머나먼 천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더 잘 바라보려면’ 더 좋은 망원경이 필요하다. 인간이 만든 가장 매력적인 발명품을 꼽으라면 주저 없이 망원경을 택하겠다. 호기심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충족시켜 주기도 하니까. 이 책은 처음 망원경이 발명되던 당시부터 현대의 초대형 망원경에 이르기까지 400여 년의 역사를 담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망원경 이야기만 있는 게 아니다. 더 큰 망원경이 필요했던 천문학적 이유와 이를 만들기 위한 기술적 해결책을 당시의 시대 배경 및 천문학자들 사이의 갈등과 협력 과정을 통해 세밀히 그려 내고 있다. 망원경이 커지면 두 가지 장점이 생긴다. 관찰하는 대상의 세부를 상(像)으로 판별하는 능력인 ‘분해능’이 좋아진다는 것과 더 작거나 더 멀리 있는 천체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더 먼 우주를 누가 먼저 보는가는 누가 더 큰 망원경을 가지는가의 싸움이다. 망원경의 역사는 저자의 말처럼 더 큰 망원경을 갈구하는 구경병에 걸린 천문학자들의 투쟁사이고 우주에 대한 패러다임 변천사다.

이 책 후반부에서 설명하고 있듯이 20세기 말 불기 시작한 망원경의 대형화 경쟁은 전쟁을 방불케 한다. 미국 유럽 일본은 물론이고 스페인과 남아프리카공화국도 구경 8m 이상의 대형망원경을 속속 건설했다. 지독한 ‘구경병’ 환자들은 지금 구경 30m 이상의 거대 망원경을 설계하고 있다. 우주에서 처음 태어난 은하를 찾아내는 것과 혹시 생명체가 있을지도 모를 행성을 발견하겠다는 것이 그들의 목표다. 꿈은 이루어질까? 저자는 앞으로 100년 뒤의 시점에서 망원경 덕분에 이룰 수 있었던 지난 100년간의 성과를 가상해 보는 흥미로운 형식의 에필로그로 답하고 있다.

천문학이나 광학에 지식이 없다고 이 책 읽기를 두려할 이유는 없다. 저자는 해박한 지식뿐만 아니라 독자를 편안하게 책 안에 가둬두는 재주를 가졌기 때문이다. 꼭 써야 하는 전문용어는 바로 옆에 사전을 만들어 설명했고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한 곳에는 글상자를 두어 따로 설명하고 있다. 책 뒤에는 막대한 양의 주석과 출처, 참고문헌을 밝혀 깊이 있는 독자의 욕구도 충족하고 있다. 번역서를 읽는 껄끄러움을 전혀 느낄 수 없을 만큼 매끈한 문장도 고맙기 이를 데 없다.

소망이 있다. 망원경 역사 400년을 기념해 유네스코가 정한 ‘세계 천문의 해’인 2009년 1월 1일자 신문에 ‘한국, 세계 최대 망원경 건설에 참여’라는 제하의 기사가 실리는 것이다. 그러면 2020년 즈음 어느 날 세계 매스컴은 ‘한국 천문학자, 우주의 신비를 풀다!’는 소식을 전하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김호일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