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꾼 삶의 기록-자서전30선]<27>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자서전

  • 입력 2007년 3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얘야, 대지의 맥박을 가까이 느끼며 살아가도록 해라. 거기에 힘이 깃들어 있단다. 농부도 목사도 마찬가지이지만, 건축가가 위대한 건물을 지으려고 한다면 무엇보다도 영혼의 단순함이 필수적인 것이란다.》

자연과 소통하는 건축을 위하여

술 한 잔을 사이에 두고 처음 만난 이의 살아온 인생 편력을 듣다 보면 어느새 그가 내 오랜 지기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이렇듯 자서전은 개인의 독백이기 이전에 시공간을 초월하여 독자인 내가 그의 삶 속에 들어가고 그가 다시 나에게로 다가오는 소통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자서전으로 만난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20세기 초반 마천루라는 미국 대도시의 기계문명에 대한 거친 저항과 광활한 남서부 대자연에의 순응을 애증에 찬 목소리로 들려준다. 아무리 위대한 건축가라 할지라도 그가 설계한 건축물보다 더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진 못한다. 사람들은 위대한 건축물은 알지만 그 위대함을 창조해 낸 건축가는 기억하지 못한다. 뉴욕의 구겐하임 미술관. 아마도 이것이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를 드러낼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아이콘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라이트의 대부분의 삶은 시카고를 중심으로 펼쳐졌다. 시카고는 근대건축의 상징인 마천루의 도시이다. 시카고를 배경으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거장 라이트의 작품은 마천루도 아니거니와 마천루처럼 도심을 가득 채우고 있지도 않다. 지금은 시카고의 관광상품이기도 한 라이트의 작품들을 순례해 보면 그의 발자취는 시카고 근교의 자연과 하나가 된 다양한 주택에서 만날 수 있다.

“나는 이제 알았다. 집은 언덕 위에 혹은 그 어떤 것 위에 군림하는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집은 언덕 속으로 스며들어 가야 하는 것이었다. 언덕과 집이 함께 살면서 더 행복해질 수 있어야 하는 것이었다.” 그의 고백처럼 라이트의 주택은 자연과 함께 공존하는 유기적 건축을 갈망하였다. 그래서 완성된 것이 광활한 초원지대를 배경으로 한 ‘프레리(prairie) 스타일’ 건축이다.

자연에 순응한 라이트의 정신은 탈리에신에 응축되어 있다. 탈리에신은 그의 고향인 웨일스의 음유시인 이름이다. ‘빛나는 이마’라는 뜻의 탈리에신은 라이트의 삶과 일, 가족의 기쁨과 슬픔을 담고 있는 자신의 집 이름이기도하다. 이곳은 라이트가 직원들과 함께 일하고 학생들을 가르치고 가족과 함께 생활한 공동체 공간이다. 그래서 이 자서전의 상당 부분은 탈리에신 I, II, III을 통해서 그가 겪었던 인생의 희로애락을 이야기한다. 또한 탈리에신에서 함께했던 제자들과의 삶은 오늘날 건축 교육의 원형으로 탐독할 만하다.

이 책은 라이트가 건축가로서의 삶의 중간쯤에 서서 쓴 책이라 완전한 자서전은 아니다. 그래서 그의 불꽃같은 열정에 더해진 완숙미가 활짝 피어난, ‘낙수장’이란 별칭으로 더 유명한 카우프먼 저택과 구겐하임 미술관에 대한 독백이 없다. 라이트는 자신의 자서전을 통해 열어 놓은 길을 독자들과 함께 가길 바라고 그 발길의 마지막에 낙수장과 구겐하임 미술관에 이르는 상상의 세계를 열어 놓은 듯하다. 그래서 이 자서전의 끝은 독자의 상상력으로 이어지게 된다. 근대를 풍미했던 거장 건축가가 걸어간 마지막 길을 찾아 나서는 여행은 이제 독자의 몫이다.

結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