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총 생물량의 0.01%에 불과? 미미한 인간들이 초래한 오염은…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5월 30일 15시 23분


코멘트
지난 주말, 금강역사영화제에 다녀왔다. 영화제 기간 동안 전북 군산에서 금강을 건너 충남 서천의 해변가에 있는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을 찾아갔다.

자원관에 들어서자 마치 조물주가 만들어 놓은 생명의 기원처럼 가운데 커다란 해양생물 표본탑이 세워져 있었다. 커다란 수족관에 살아있는 물고기들이 전시되어 있는 흔한 전시실과는 달랐다. 플랑크톤, 불가사리, 산호, 바다지네 등 지금까지 자세히 본적이 없는 다양하고 표본들, 흥미로운 바다 생명체들이 소개돼 있어 신선했다.

지구 생물의 80%는 바다에 살고 있는데, 우리는 겨우 1%만 알고 있다. 물고기 박사 황선도 관장님이 직접 안내를 해줬다. 관장님의 설명을 들으니 이질적으로 느껴졌던 낯설고 진귀한 바다 생물들이 가깝게 다가왔다. 그리고 맨 위층에서 아래로 이어지는 전시장의 마지막에 등장하는 것은 바다에 사는 포유동물류로 커다란 고래가 천정에 매달려 있거나 벽에 그려져 있었다. 우리 가족은 이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으며 즐거워했다.

그런데 ‘No Plastic·11일 동안의 메뉴’라는 제목의 특별전이 눈에 띄었다. 2018년 8월, 거북 13마리를 제주도 중문해수욕장에서 바다에 방류하는 실험연구를 진행했다. 방류한지 11일 만에 부산 기장군 해안에서 붉은바다 거북 한 마리가 죽은 채 발견되었다. 거북을 부검한 결과 비닐봉지, 찢어진 그물 조각, 플라스틱 파편 등 몸에서 나온 수많은 물질들에 연구진들은 깜짝 놀랐다. 전시장에는 박제된 바다거북과 함께 그 속에서 나온 쓰레기가 보란 듯이 전시되어 있었다. 물속에서 투명 비닐봉지는 해파리처럼 보이고, 찢어진 그물 조각은 해초처럼 보여 거북이 삼킨 것일 테다.

미세플라스틱은 작아서 더 위험한 물질이다. 바다거북이 각종 비닐과 플라스틱을 삼켰듯 더 작은 해양생명체들이 미세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해 삼킬 수 있다는 것이다. 플랑크톤에서부터 해양포유류까지 훨씬 많은 해양생물이 플라스틱을 쉽게 다량으로 섭취하고 있으니, 결과적으로 우리 인간을 비롯한 다양한 생명체에 그것이 축적된다. 이렇게 미세플라스틱은 광범위하게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스타리카 해안에서 구조된 바다거북의 한쪽 코에 플라스틱 빨대가 박혀 있다가 제거돼 피가 줄줄 흐르고 있다. 2015년 일어난 일이지만 올해 유튜브를 통해 공개돼 충격을 주었다. 유튜브 화면 캡처
코스타리카 해안에서 구조된 바다거북의 한쪽 코에 플라스틱 빨대가 박혀 있다가 제거돼 피가 줄줄 흐르고 있다. 2015년 일어난 일이지만 올해 유튜브를 통해 공개돼 충격을 주었다. 유튜브 화면 캡처

이런 쓰레기는 모두 인간들이 버린 것이다. 인간의 총 수는 지구 총 생물량의 0.01%에 불과해 오차로 무시할 만큼 미미한 존재라고 한다. 그러나 미미한 인간들이 초래한 오염은 지구 환경을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하고 있다.

내 주변을 살펴도 산업화와 함께 편리함을 추구하다보니 플라스틱으로 만든 일회용 컵, 용기, 빨대, 비닐봉지 등이 넘쳐난다. 한 사람이 하루에 버리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얼마나 많을까?

최근 들어 한국, 일본, 중국이 공동으로 이에 대처하는 연구를 시작했고, 일반인들도 비닐봉지 유료화나 일회용품을 줄이는 다양한 활동을 시작했다. 해양생물자원관에서도 안내판을 나무로 만들고, 머그컵을 활용한다고 한다.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우리 가족도 텀블러를 사용하는데 이처럼 아주 쉬운 것부터 조금씩 더 적극적으로 이를 행해야겠다.

지구의 바다는 각 나라의 것이 아니다. 모두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모든 지구 생물의 공동 재산이다. 바다에 대해서는 나라를 따지지 않고 함께 연대하며 대처해야 할 것이다.

자원관을 나와 갯벌 곁으로 펼쳐진 해송 산책길을 걸었다. 콧속에 스며드는 향긋한 소나무 향과 바다 내음이 묘한 조화를 이루며 걷는 내내 상쾌함을 더해줬다. 가족단위 관광객이 갯벌 속에 발을 담그며 바다놀이를 하고 있었고, 새들이 지저귀는 해송 산책길에선 사람들이 천천히 걸으며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5월의 상쾌함이 가득했던 이 길은 아늑하고 소중한 신록으로 내게 다가왔다.

이 조화로운 풍광 속을 걸으며 나는 인간과 자연의 평화로운 공존을 느꼈다. 절대 파괴되거나 사라져선, 어떠한 변형도 일어나선 안 되는 공존. 개발과 편리라는 이름 하에 인공적으로 바꾸고 변화시키면 안 된다는 것을 다시 생각하게 됐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