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누리호 발사 성공…세계 7번째 우주강국 진입”

  • 동아닷컴
  • 입력 2022년 6월 21일 17시 10분


코멘트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 및 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실제 기능이 없는 모사체(더미) 위성만 실렸던 1차 발사와 달리 이번 2차 발사 누리호에는 성능검증위성과 4기의 큐브위성이 탑재됐다. 2022.6.21 고흥=사진공동취재단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 및 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실제 기능이 없는 모사체(더미) 위성만 실렸던 1차 발사와 달리 이번 2차 발사 누리호에는 성능검증위성과 4기의 큐브위성이 탑재됐다. 2022.6.21 고흥=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이 자력으로 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린 세계 7번째 국가가 됐다.

21일 오후 4시 정각에 전라남도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는 위성 궤도에 정상적으로 안착했다.

이종호 과학기술통신부 장관은 오후 5시 8분경 나로우주센터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성공을 발표한다”고 알렸다.

이 장관은 “오늘 오후 4시 발사된 누리호는 목표궤도에 투입돼 성능검증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고 궤도에 안착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오늘 대한민국 과학기술사뿐 아니라 대한민국 역사의 기념비적인 순간에 섰다. 대한민국의 하늘이 활짝 열렸다. 대한민국 과학기술이 위대한 전진을 이뤘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93년 6월 과학관측로켓 1호 발사후 30년만이다. 우리땅에서 우리손으로 우리발사체를 우주로 보내는 7번째 나라가 됐다”며 “정부는 2027년까지 추가 발사하면서 누리호의 기술적 신뢰도와 안정성을 높여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누리호는 오후 4시 카운트다운이 완료됨과 동시에 화염을 내뿜으며 하늘로 솟아 올랐다. 이어 2분 7초 뒤에 고도 59km지점에서 1단 페어링이 분리됐다. 2단, 3단 페어링 분리도 순조롭게 이뤄졌으며, 목표고도 700km 도달→성능검증위성→위성모사체 분리가 확인 됐다.

이번 발사 성공은 지난해 10월 실패했던 1차 발사 뒤 약 8개월 만이다.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pt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