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산, 與 겨냥 “13평 임대주택과 文대통령 안전만 허락”

  • 동아닷컴
  • 입력 2020년 12월 28일 12시 05분


코멘트
김현미-변창흠과 임대주택 방문한 文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경기 화성시 동탄의 공공임대주택에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왼쪽), 변창흠 국토부 장관 후보자(오른쪽)와 함께 임대주택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김현미-변창흠과 임대주택 방문한 文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경기 화성시 동탄의 공공임대주택에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왼쪽), 변창흠 국토부 장관 후보자(오른쪽)와 함께 임대주택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시무 7조’ 청원으로 이름을 알린 진인 조은산이 28일 여권을 겨냥해 “그들이 허락한 것은 13평의 미분양 임대주택과 기본 소득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안전”이라고 했다.

조은산은 이날 자신의 블로그에 ‘그러지 않을 수 있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국민이 내 집 마련을 포기하고 전월세를 못 구해 발을 동동 구르지 않을 수 있었고 스물다섯 번의 잘못된 정책을 내놓으며 한 번만이라도 국민의 목소리를 귀담아 들어줄 수 있었다”고 꼬집었다.

이어 “검찰 개혁이라는 과제 앞에 온 나라가 다시 들끓고 온 국민이 분열되지 않을 수 있었다”며 “법무부장관을 통해 검찰총장의 지휘권과 직위를 박탈하지 않아도 친정부 인사를 내세운 공수처 설립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검찰 개혁을 충분히 이뤄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검찰 개혁과 공수처 설립에 몰두해 백신을 놓치지 않을 수 있었다. 마스크와 식은 배달 음식에서 조금 일찍 벗어날 수 있었다”고 꼬집었다.

진인 조은산 블로그 글.
진인 조은산 블로그 글.
또한 “힘 있는 자들이 법 뒤에 숨어 으스대지 않을 수 있었고 힘 없는 자들이 법 앞에 움츠러들어 숨지 않을 수 있었다”며 “전전 대통령이, 전 대통령이 그러했듯 지금의 대통령도 죄가 있다면 언제든 법의 심판을 받게 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조은산은 “우리는 그럴 자격이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허락하지 않았다. 우리에게 남은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그러나 그들은 앞으로도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정책과 공수처 설립 등을 두고 “(유일하게) 그들이 허락한 것은 13평의 미분양 임대 주택과 기본 소득, 문재인 대통령의 안전”이라고 비꼬았다.

앞서 조은산은 지난 25일 윤석열 검찰총장의 복귀에 대해선 “사법부에까지 권력을 행사하려는 극성 친문 세력들의 앞뒤 안 가리는 도전정신에 사법부가 판결로써 답한 것”이라고 올린 바 있다.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hs87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