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금리 인상? 연기?… 운명의 18일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9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연준 결정 앞두고 지구촌 이목집중

이번 주 세계 경제의 키는 미국이 쥐고 있다. 18일 새벽(한국 시간) 발표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결정에 세계 경제의 모든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준이 이번에 금리를 올리면 이는 2006년 이후 9년 만에 처음이고, 글로벌 경제위기로 2008년 말부터 이어 온 제로금리(0.0∼0.25%) 정책을 7년 만에 거둬들이는 것이 된다.

○ 금리 전망 월가에서도 팽팽

연준은 16일(현지 시간)부터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금리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미국은 오래전부터 경기회복을 전제로 연내 통화정책의 정상화를 예고해 왔다. 시장은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는 9월을 유력한 인상 시점으로 점쳐 왔다. 하지만 최근 ‘중국발 쇼크’ 등으로 세계 경제가 불안모드에 접어들자 연준이 금리인상을 자제할 것이라는 예상이 다시 힘을 얻었다. 회의를 코앞에 둔 지금은 월가에서도 ‘9월 인상설’과 ‘인상 연기설’이 팽팽히 맞서고 있어서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형국이다.

연준 당국자들의 의견도 ‘매파(통화긴축론자)’와 ‘비둘기파(통화완화론자)’로 나뉘며 극명히 엇갈리고 있다. 금리 결정의 키를 쥐고 있는 옐런 의장은 7월 중순 미 하원 청문회 출석 이후 두 달간 공식 석상에 아예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 옐런의 칩거를 두고 금융계에서는 “금리인상 여부에 대한 확신이 섰다면 어떤 형태로든 시장에 신호를 줬을 텐데, 스스로도 마음의 결정을 못 하다 보니 끝까지 두문불출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돌고 있다. 옐런 의장은 금리인상의 전제로 고용과 물가를 꼽아 왔다. 실업률이 완전고용 수준으로 안착하며 이 조건을 만족했지만 물가상승률은 연준이 목표로 하는 2%에 아직 한참 못 미치고 있다.

외부의 훈수(訓手)가 늘어나는 것도 연준에는 부담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들은 금융시장 불안을 우려하면서 미국의 금리인상을 반대하고 나섰다. 하지만 “이번에도 연준이 결단을 미루면 시장이 더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는 찬성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 “한국은 차별화 기대, 그러나 안심 못 해”


만약 미국이 이번에 금리인상을 단행하면 글로벌 금융시장은 단기적인 충격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신흥시장에서는 외국인 자금의 유출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이 문제가 중국 경제의 위기 상황과 맞물리면 불안심리가 더 증폭되며 국내 시장도 크게 출렁일 가능성이 높다.

당장의 시장 불안 외에도 한국은 시중금리의 상승이라는 더 큰 문제를 마주해야 한다. 미국의 금리를 좇아 국내 금리가 오르면 1100조 원에 이르는 가계부채가 일부 부실화되고 저금리로 연명해온 한계기업들이 대거 쓰러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아주 천천히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금리인상이 워낙 오래전부터 예고된 사안이라 파급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반론도 많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매도 먼저 맞는 게 낫다’는 말처럼 이번에 금리가 올라가는 게 차라리 시장에는 좋을 수 있다”면서도 “우리는 다른 신흥국과 차별화가 되겠지만 중국이나 신흥국 위기로 번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안심하고 있을 때는 아니다”고 말했다. 김학균 대우증권 투자분석부장은 “지나치게 강한 매파적 발언만 아니라면 연준이 어떻게 결정하더라도 불확실성이 해소된다는 차원에서 이후 증시는 상승세를 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유재동 jarrett@donga.com·이건혁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