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美금리 급등땐 亞서 가장 큰 타격”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0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美 FOMC 28일∼29일 열려… 양적완화 6년만에 종료 유력
IMF “성장률 0.98%P 하락”

세계 역사상 가장 과감한 통화정책으로 평가되는 미국의 양적완화(QE)가 이번 주에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8,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월 150억 달러 규모의 자산 매입을 중단하며 양적완화 프로그램을 약 6년 만에 종료할 것으로 전망된다.

QE는 대공황에 버금가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금리를 제로(0) 수준으로 떨어뜨리는 것도 모자라 돈을 찍어 시장에 무차별적으로 뿌리는 정책이었다. 아직도 “대공황을 막는 데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또 다른 버블의 씨앗을 뿌렸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팽팽히 맞서고 있다.

양적완화의 종료는 미국 경제가 금융위기의 충격에서 벗어나 기력을 충분히 회복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진통제 투여’가 중단되면서 세계경제가 또 다른 고통의 시기에 접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 약 6년에 걸친 비상 체제 마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미국은 지금까지 세 차례의 양적완화를 통해 약 4조 달러를 시장에 투입했다. 지난해 기준 1조3000억 달러인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세 배에 이르는 규모다.

2009∼2011년의 1, 2차 양적완화 당시에는 금융시장 안정이 주된 정책 목표였다. 금융위기로 자금 흐름이 막힌 시장에 충분한 유동성을 불어넣으려는 의도였다. 2012년 시작된 3차 양적완화는 정책의 타깃이 금융 안정에서 실물경제 지원으로 이동했다. 주택시장 등 경기 부진이 길어질 조짐을 보이자 연준은 아예 구체적인 ‘고용 목표치’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무제한으로 채권을 사들이겠다고 선언했다.

이런 정책 기조에 대전환이 오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부터다. 자국 경제지표의 개선에 자신감을 가진 연준은 올 초부터 자산 매입 규모를 점차 줄여가면서 그동안의 비상체제를 조금씩 마무리하는 수순에 들어갔다. 실물경제가 거의 정상 수준을 회복하며 위기의 ‘8분 능선’을 넘었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박성욱 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은 “세 차례의 양적완화를 두고 풀린 돈이 실물로 충분히 가지 못 했다는 비판이 있었다”면서도 “중앙은행의 채권 매입을 통해 주택경기 개선과 금융시장 안정에는 전반적으로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연준이 제로 수준의 금리를 언제쯤 올릴지에 집중되고 있다. 지금 분위기를 봐서는 그리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유럽과 중국의 경기 둔화로 세계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은 데다 미국도 달러화가 강세를 보임에 따라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내년 또는 2016년 초에 기준금리가 오르기 시작하고 연준이 그동안 사들인 4조 달러가량의 채권을 시장에 되파는 것은 그 이후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5월 “연준의 채권 보유액이 위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는 데는 최대 8년은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양적완화를 집행하는 데 들었던 시간(6년)보다 출구로 나가는 과정이 더 오래 걸릴 것이라는 뜻이다.

○ 미국 금리 인상 그리 급격하지 않을 듯


미국이 출구전략에 뜸을 들일 수밖에 없는 것은 연준의 결정이 한국 등 세계경제에 미치는 충격파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당장 한국 등 신흥국은 미국과의 금리차가 좁혀지면서 자본 유출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 미국도 이런 세계경제의 불안이 자국 경제에 부메랑으로 돌아올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미국의 금리 인상이 급격히 이뤄져 세계경제에 혼란이 발생할 경우 한국의 연간 경제성장률이 0.98%포인트 떨어질 수 있다고 봤다. 중국, 일본, 동남아 주요국 등이 받을 수 있는 충격보다 더 크다.

정성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소규모 개방경제인 한국은 미국의 통화정책 등 대외 요인에 따른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며 “다만 연준이 금리를 갑자기 올리거나 금융시장이 과잉 반응할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27일 국정감사에서 “지금까지 연준의 발언을 종합해보면 미국의 금리 인상은 점진적으로 사전에 예측 가능한 범위에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가 초저금리와 양적완화로 지탱됐다고 한다면 이제 그 민낯이 드러나는 셈”이라며 “경기에 대한 심리가 워낙 불안한 상태여서 신흥국을 중심으로 충격이 증폭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유재동 기자 jarrett@donga.com
#IMF#성장률#금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