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는 스위스프랑으로 전쟁을 막았다[오늘과 내일/고기정]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8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2차 대전 기축통화 역할, 독일도 못 흔들어
선언성 ‘평화경제’로 우리를 지킬 수 있을까

고기정 경제부장
고기정 경제부장
영세 중립국 스위스는 제2차 세계대전의 참화를 면했다. 같은 중립국이던 네덜란드, 벨기에가 독일군의 군화에 짓밟힌 것과 대비된다. 지금처럼 스위스가 군사적 대비를 잘한 덕분이라는 평가가 많다. 실제로 독일은 전쟁 중반까지도 스위스 공략을 시도했다. 1940년 6월 프랑스 남부에 주둔 중이던 병력으로 스위스 서북쪽을 침공하려 한 것을 비롯해 그해 10월과 1943년 12월에도 대규모 진격 작전을 수립했지만 불발됐다.

2차 대전은 1939년 9월 1일 독일의 폴란드 침공을 시작으로 발발했다. 영국과 프랑스가 이에 맞서 독일에 선전포고를 한 게 9월 3일이었다. 반면 스위스는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기 전날인 8월 31일 이미 43만 명의 민병대 동원령을 발령했다. 또 독일군 기갑부대에 대비해 북동부의 베른과 취리히 등 대도시를 사실상 포기하고 동부의 알프스 산악 지역을 거점으로 한 장기 게릴라전을 준비했다. 독일로선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여기까지는 군사학이 보여주는 정황이다. 실은 스위스가 독일의 침공을 피할 수 있었던 결정적 이유는 스위스프랑이 전시 기축통화 역할을 한 때문이었다. 당시 독일 등 추축국은 석유 등 자원을 제3국으로부터 수입하려 했다. 문제는 결제 수단이었다. 중동 국가들은 미국 달러화나 영국 파운드화마저 거부했다. 전쟁 참가국의 통화는 언제든 휴지 조각이 될 수 있어서다.

그때 대안으로 부상한 화폐가 그 전에도 역내 결제 수단으로 일부 통용된 스위스프랑이었다. 독일 역시 스위스프랑으로 전쟁 물품을 조달해야 했다. 스위스프랑의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건 스위스뿐 아니라 독일의 이해가 걸린 문제가 돼 버렸다. 독일이 스위스를 침공하지 않은 게 아니라 못 했다는 말이 나오는 건 이런 사정을 두고 하는 말이다.

스위스프랑 얘기를 꺼낸 건 문재인 대통령이 5일 극일의 방법론으로 제시한 ‘평화경제론’ 때문이다. 대통령은 일본 경제가 우리 경제보다 우위에 있는 것은 경제 규모와 내수 시장이며, 남북 간 경제협력으로 평화경제를 실현하면 단숨에 일본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했다. 당장 기업인들 반응이 이례적으로 싸늘하다. 이 발언이 나온 뒤 한 대기업 계열사 대표는 정부에 대한 기대를 완전히 접었다고 했다. 그는 본인도 누구처럼 ‘강남 좌파’라며, 친문까지는 안 돼도 비판적 지지 세력으로 남겠다고 했던 사람이었다.

기업인들이 실망한 건 대통령이 일본 경제 보복으로 초래된 불확실성의 해법으로 북한이라는 또 다른 불확실성을 제시해서다. 한 기업인은 “소득주도성장, 공정경제, 포용경제, 혁신경제에 이어 이제 평화경제까지 나왔다. 어느 하나라도 손에 잡히는 게 있느냐”고 했다. 한일 경제전쟁의 최전선에 선 기업들로선 현실성 있는 대안을 확인하거나, 그게 안 되면 최소한 위로라도 받고 싶은 심정이었을 것이다. 일각에선 대통령의 메시지 관리에 기술적 문제가 있었다는 말도 있지만 8·15 경축사에서 평화경제를 재차 강조한 것을 보면 그렇지도 않은 듯하다.

스위스 정부가 2차 대전 당시 국민들에게 ‘알프스 옥쇄 투쟁’만 외쳤다면 과연 전쟁을 면할 수 있었을까. 스위스는 알프스 산맥 곳곳에 생필품을 저장하며 진지를 구축할 때도 정부 보유 금괴부터 옮겼다. 그 덕분에 사방이 독일과 그 점령지로 둘러싸였음에도 멀리 남미로부터 밀을 수입해 식량 부족 상황에 대응할 수 있었다. 스위스프랑이 기축통화가 된 건 운이 좋아서가 아니라 그 전은 물론이고 지금까지도 통화가치 안정을 유지하려는 현실적 노력 때문이다. 평화든 전쟁이든 말로만 되는 게 아니다.

고기정 경제부장 koh@donga.com
#스위스#제2차 세계대전#평화경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