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부 당국자는 30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난 주말부터 북한 지역 내 호우로 인해 북한은 최근 황강댐 수문을 개방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황강댐 수문 개방이 사실이라면 우리 측이 북측 댐 방류 시 사전 통보해 줄 것을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북측이 아무런 사전 통지를 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8일 북한 측에 댐 방류 시 미리 통지해달라고 공개 요구한 바 있다. 그러나 북한은 이에 대한 응답 없이 방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황강댐을 방류하면 약 4~5시간 뒤 방류수가 경기도 연천의 우리 측 군남댐에 도착한다. 황강댐 저수용량이 군남댐보다 약 5배 크기 때문에 북한이 예고 없이 수문을 열면 수위가 급격히 높아져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임진강 수위를 미리 판단할 수 있는 필승교 수위는 29일 관심수위인 5m까지 올랐지만, 이날 오전 점차 떨어져 현재는 3m대로 안정적인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자는 “필승교 수위가 오늘 오전 1시 5m에서 오후 2시 3.24m로 낮아진 점 등을 고려할 때 북한이 황강댐 방류량을 급격히 늘린 것으로 판단하진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유관기관 간 긴밀한 협조를 통해 북측 지역의 강우 및 방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우리 측 수역의 관리에 만전을 기함으로써 국민의 안전과 재산 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혜린 동아닷컴 기자 sinnala8@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