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의 아파트담보대출 고정금리(혼합형)는 전날 기준 연 3.97%~4.96%로 나타났다. 케이뱅크는 올해 들어 2차례 아담대(주담대) 금리를 인하했다.
고정금리를 최대 0.34%포인트 낮춘 데 이어 변동금리도 최대 0.64%포인트 내렸다. 이에 금리 하단이 최근 3% 후반대로 진입하면서 대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달 들어 기존 1금융권에서 보유하고 있던 대출을 최근 케이뱅크로 아담대로 대환해 금리를 2%포인트 이상 낮춘 고객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 같은 상황은 다른 은행에서도 감지된다. 카카오뱅크의 주담대 혼합금리는 4.115~5.116% 수준이다. 케이뱅크에 이어 금리 하단이 3% 후반대에 진입했다가 소폭 오르면서 다시 4.1%가 됐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준거금리 변경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며 “금리가 당분간 내려가는 방향으로 예상돼 곧 다시 3%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인터넷은행에 이어 시중은행도 주담대 하단이 4% 초반대로 내려왔다. 준거금리인 채권금리가 하락세를 지속할 경우 다음주 3%대 진입이 전망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는 전일 4.08~6.13%로 형성됐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이 4.08~5.48%로 하단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어 ▲하나은행 4.129~4.729% ▲농협은행 4.23~6.13% ▲신한은행 4.64~5.55% ▲우리은행 4.97~5.97% 등으로 나타났다. 채권시장 안정화로 금융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주담대 고정금리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 5년물 금리는 7일 기준 4.021%를 보였다. 지난해 12월30일 4.725%에서 올해 들어 0.704%포인트 떨어졌다.
이 같은 흐름에서 기존에 고금리로 받은 대출 상품의 매달 이자상환 부담을 조금이라도 더 낮추려는 수요는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