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올해 정찰위성 ‘1호기’ 쏜다 “北 감시 강화”… 고체 추진 우주발사체도

  • 뉴스1
  • 입력 2023년 1월 11일 14시 37분


코멘트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2차 시험발사. 국방부 제공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2차 시험발사. 국방부 제공
군 당국이 올해 군사용 정찰위성 ‘1호기’를 발사한다. 또 고체연료 추진체를 사용하는 우주발사체의 최종 시험발사를 진행하는 등 북한보다 월등한 정보·감시·정찰(ISR) 능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11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연두 업무보고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국방부 업무 추진계획’을 보고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우리 군은 독자적 대북 감시능력 확보 차원에서 오는 2025년까지 고성능 영상레이더(SAR) 위성 4기와 전자광학(EO)·적외선장비(IR) 탑재 위성 1기를 전력화하는 이른바 ‘425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군은 이 사업의 일환으로 올 후반기 정찰위성 1호기가 궤도에 쏴 올릴 계획이다. 425사업에 따른 위성 5기는 모두 미국의 민간 우주탐사 기업 ‘스페이스X’ 로켓에 실려 발사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찰위성 5기가 순차적으로 궤도에 진입하면 우리 군은 자체적으로 2시간 간격으로 북한 내 미사일기지·핵실험장 등 주요시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된다.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탑재체 분리 모습. 국방부 제공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탑재체 분리 모습. 국방부 제공

군 당국은 이 같은 정찰위성 운용이 실현되면 ‘한국형 3축 체계’ 중 ‘킬체인’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킬체인’은 유사시 북한의 핵·미사일 시설을 선제 타격하는 것을 말한다.

군 당국은 또 고체추진 우주발사체도 올해 최종 시험발사를 추진한다. 작년 3월과 12월 1·2차 시험발사에 성공한 고체추진 우주발사체가 최종 시험까지 마치면 그 다음 단계를 실제 위성을 탑재한 채 발사하는 것이다.

군 당국은 이를 바탕으로 오는 2025년까지 무게 500㎏의 초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을 고도 500㎞ 저궤도에 올린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와 관련 이날 업무보고에 참석한 국방과학연구소(ADD)의 이도윤 박사는 “우리의 고체 추진 위성발사체 기술이 북한에 비해 월등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국방부는 우주·사이버·전자기 등 ‘새로운 안보영역’에서도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작전수행능력과 기반체계를 확충해나갈 계획이라고 윤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우주영역에선 △인공지능(AI) 등 첨단과학기술을 적용한 우주전력을 지속 확충하면서 △한미 우주토의식 연습(TTX) 및 국제우주연습·훈련 참여 등을 통해 선진국과의 협력을 확대해갈 계획이다.

‘한미 우주토의식 연습’은 지난 2017년 처음 실시됐으며, 올해 후반기로 예상되는 두 번째 연습에선 인공위성 충돌·추락 등에 대비하는 내용을 다룰 전망이다.

아울러 국방부는 △사이버작전 수행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올 6월 ‘국방사이버안보전략서’를 발간하고, △후반기엔 유사시 사이버 영역에 대한 군의 역할을 명문화하기 위한 ‘통합방위법’ 개정, △공세적·능동적 사이버작전을 위한 작전계획·예규 구체화를 각각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방부 제공
국방부 제공
지능화·고도화된 사이버 전력 구축을 위해선 올해부터 오는 2029년까지 ‘사이버 전장관리체계’ 탐색개발과 사이버 핵심기술 연구개발(R&D)이 진행된다.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한미연합훈련(TTX·FTX)도 추진된다.

국방부는 국방 전자기 능력 발전을 위해선 △올 상반기 중 국방 전자기 스펙트럼 조직을 보강하고 △‘합동 군사 전략서’에 전자기 작전개념을 반영하며, △12월엔 ‘국방 전자기 스펙트럼 전략서’를 발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소프트킬’ 방식의 ‘한국형 재머(jammer)’ 등 첨단기술 기반 전자기전 수단 및 전장관리시스템도 올해부터 2029년까진 단계적으로 확보된다.

이 장관은 이외에도 ‘국방AI센터’의 내년 창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국방부와 방위사업청, 민간 분야 등에 산재해 있는) 전문 인력들을 통합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운용하고 역할을 부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이날 ‘한국형 3축 체계’의 능력·태세도 지속 강화할 계획이라고 윤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한국형 3축 체계’란 △킬체인과 △북한의 공격을 방어하는 데 필요한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 그리고 △북한의 공격 이후 지휘부와 주요시설 등을 응징하는 ‘대량응징보복’(KMPR) 전력을 말한다.

국방부 제공
국방부 제공
국방부에 따르면 윤 대통령도 관련 보고를 받은 뒤 “상대방에 의존하는 평화는 지속될 수 없는 ‘가짜’ 평화”라며 “북한의 위협을 실효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한미 간 ‘확장억제’ 분야별 협력을 더 공고하게 만들고, 한국형 3축 체계의 능력·태세를 획기적으로 강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군 당국은 킬체인 강화를 위해선 △전술지대지미사일과 공대지유도탄 등 초정밀·장사정 미사일을 확충하고, △극초음속 비행체의 핵심기술 확보 및 형상설계에 나서는 한편, △고성능 대형 수중발사장치 등을 통해 고정·이동·갱도 표적 등 북한 전 지역에 대한 정밀타격능력을 강화하겠단 구상이다.

군 당국은 또 △한미 연합연습과 연계한 연합·합동 미사일 타격훈련을 강화하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 전에 이를 물리적·비물리적 수단으로 교란·파괴하는 개념도 발전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수도권 복합다층방어체계 확보를 위해 북한 전역에 대한 미사일 발사 탐지·연동능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미사일 요격자산을 확충해갈 방침이라고 국방부가 밝혔다.

특히 군 당국은 북한이 다종(多種)의 미사일을 섞어 쏘는 ‘혼합 공격’에 대비해 △장사정포 요격체계 핵심기술과 장거리지대공미사일(L-SAM)·중거리지대공미사일(M-SAM) 통합 운용체계를 발전시키고, △지대공 유도탄 ‘패트리엇’(PAC-3) 유도탄 수량 확대와 M-SAM 개량형(블록-Ⅱ) 포대 조기 전력화, 그리고 △합동·연합 미사일방어훈련 정례화 및 강화에 나설 예정이라고 보고했다.

또 군은 북한의 전쟁 지도부 및 핵심시설 등 파괴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탄두 중량만 수톤에 이르는 ‘괴물 미사일’ 현무-Ⅴ 등 고위력 탄도미사일 능력을 확충하는 한편, △특수작전용 C-130H 수송기의 성능개량 체계개발을 추진한다. 또 △최첨단 장비 활용해 특수전 전력의 은밀 침투능력과 특수임무여단 전력을 보강하기로 했다.

전투 효율성을 높이고 인명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의 AI 등 첨단과학기술 기반 유·무인 복합체계도 ‘원격 통제형 중심→반자율형 시범→반자율형 확산·자율형 전환’ 단계를 거쳐 구축하게 된다.

국방부는 이를 위해 정찰·공격형·소총사격 드론, 다목적무인차량, 수중 자율 기뢰 탐색체, 기뢰 제거 처리기, 무인기 편대 시범기, 유·무인 상륙장갑차 등 각 군 시범부대들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조기 확보하고 그 운용성과 검증해 각 군 특성에 부합하는 유·무인 복합체계를 확대해간다는 방침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