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등 세계 각국에 이어 그동안 금리인상을 주저했던 유럽도 통화 긴축의 대열에 합류한다. 일각에서는 ‘빅 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유럽이 금리를 올리면 2011년 남유럽 재정위기 이후 11년 만이 된다.
20일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유럽중앙은행(ECB)은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21일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할 것이 확실시된다. ECB는 2011년 7월 마지막으로 금리를 올린 뒤 경기 부양을 위해 조금씩 금리를 낮춰 왔고, 2016년 3월부터는 6년 이상 ‘제로(0) 금리’를 유지해 왔다.
당초 시장에서는 ECB가 이번에 금리를 0.25%포인트만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올 6월 ECB가 금리 동결을 결정하면서 이 같은 인상폭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달 발표된 6월 유로 지역 물가상승률이 8.6%까지 치솟으면서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빅 스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기 시작했다.
여기에 미국이 지난달에 이어 이달 말에도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것도 유럽의 빠른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로 인해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가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추락하면서 물가 상승을 더 부채질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ECB가 빅스텝을 단행한다면 예금금리(기준금리의 한 종류)도 ―0.5%에서 0%로 올라 2014년부터 8년간 이어진 ‘마이너스 금리 실험’이 끝나게 된다.
9%대 물가상승률에 신음하는 영국 역시 빅스텝 카드를 검토 중이다. 앤드루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는 19일 열린 행사 연설에서 “다음달 0.5%포인트 금리 인상을 선택지 중 하나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이 금리를 0.5%포인트 올린다면 영란은행이 독립적으로 통화정책을 결정한 1997년 이후 처음이다.
다만 유럽과 영국의 금리인상은 물가상승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는 있겠지만 자칫 가뜩이나 어려운 경기를 더 침체시킬 우려도 크다. 유럽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에너지 대란의 직격탄을 맞은 데다, 이탈리아 등 남유럽 국가들은 높은 부채비율과 정치적 리스크에도 노출돼 있다.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2022-07-20 20:41:26
그동안 자원도 없는 미국,유럽이 약간 앞선 기술로 똘똘 뭉쳐서 유라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자원대국들을 수탈해 왔다. 중국,러시아가 급성장하니까 뭉쳐서 꺽어보려 했지만 실패했다. 사실 약간 앞선 기술보다 자원이 훨씬 중요한 무기라는 사실을 숨겨왔던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