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가 된 논문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윤성로 교수팀이 최근 미국에서 열린 ‘국제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학술대회(CVPR)’에 발표한 것이다. 이 논문은 우수 논문으로 선정돼 제1저자인 서울대 대학원 AI전공 학생이 23일 구두 발표까지 했다. 그러나 발표 다음 날 이 논문이 국내외 논문 10편 이상을 짜깁기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는 유튜브 영상이 공개된 것이다.
윤 교수는 제1저자가 다른 공저자들 몰래 남의 논문을 베껴 넣었다며 “제1저자의 단독 행동”이라고 해명했다. 윤 교수는 학계의 질의에 대표로 답하는 교신저자로 논문의 최종 책임은 대학원생인 제1저자보다 윤 교수에게 있다고 봐야 한다. 유튜버가 하루 만에 찾아낸 표절 대목을 최종 책임자가 사전에 걸러내지 못한 연구윤리 불감증이 놀랍고, 그 책임을 제자에게 떠넘기는 ‘꼬리 자르기’식 대처도 실망스럽다.
공저자 6명이 쓴 이번 논문에는 서울대 대학원생인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아들도 참여했고, 논문 말미에는 과기정통부 산하 기관인 한국연구재단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예산이 투입됐다고 언급돼 있다. 정부의 연구 지원 예산이 허투루 쓰이고 있지는 않은지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