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 대표는 15일 당 최고위원회에서 “어제 이 전 대표에게 전화를 드려 많은 위로를 드리고 서운한 점도 얘기를 잘 들었다”라고 밝혔다.
송 대표는 “깊은 고뇌와 아픔에도 당의 단합과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바라는 충정을 절절히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아버님 뒤를 이어 민주당의 파란만장한 역사와 함께한 이낙연다운 숭고한 결단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극단적 행태를 지적하는 과정에서 부적절한 비유와 표현이 있었다. 심려를 끼쳐드린 점, 상처받은 분들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송 대표는 “극단적 행태를 지양하고 상처를 내지 않고 하나가 될 수 있는 민주당이 되도록 저부터 솔선수범하겠다”라며 “경선을 하다 보면 상처가 남는다. 특히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가 되지 않을 때 상처가 크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노무현 대통령님을 보내고 눈물로 보냈던 세월을 다시 생각하며 작은 차이를 극복하고 하나로 모아갔으면 한다”고 전했다.
앞서 송 대표는 지난 13일 YTN 인터뷰에서 이 전 대표의 일부 지지자가 경선 무효표 논란을 제기하며 당 지도부를 비판한 것에 대해 “거의 일베 수준으로 공격했다. 언론개혁을 떠들던 개혁당원이라는 분들이 가짜뉴스를 퍼뜨리는데 스스로 반성해야 한다”고 말해 논란을 빚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지지자들에게 일베라고 한 송영길 사퇴 청원’이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오기도 했다. 청원인은 “어떻게 야당도 아니고 여당, 그것도 민주당 당대표가 지지자들에게 ‘일베’라고 할 수 있나”라며 “일베 소리 들으면서까지 원팀 할 이유도 없다”고 했다.
100명 이상의 사전동의를 받아 공개 요건을 충족한 해당 청원은 ‘선거기간 국민청원 운영정책’에 따라 현재 관리자에 의해 비공개처리 됐다.
두가온 동아닷컴 기자 ggga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