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해부대 집단감염, 기니만 해역 정박 때 바이러스 유입 추정

  • 동아닷컴
  • 입력 2021년 8월 10일 16시 06분


코멘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4천400t급)이 21일(한국시간) 아프리카 현지에서 출항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2021.7.21/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4천400t급)이 21일(한국시간) 아프리카 현지에서 출항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2021.7.21/뉴스
전체 부대원의 90%가 코로나19에 확진된 청해부대 34진 집단감염 사태는 기니만 해역 항구 정박 시점에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과 군 역학조사단, 의료계 등으로 구성된 민·관·군 합동조사단은 10일 브리핑에서 이같은 내용의 청해부대 34진 코로나19 집단발생 역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최초 감염이 발생한 시점은 6월 28일부터 7월 1일 사이로 추정됐다.

조사단은 “해당 부대는 해외 파병 전 2주간의 검역과정을 완료했고, 바이러스가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시점은 항구 정박 시점 밖에는 없었던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청해부대 34진은 평소 임무지역이던 A지역에서 D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해 6월 8일 B지역을 경유해 6월 11~12일 C지역에 정박했으며 D 지역에는 6월 28일~7월 1일 정박했다.

D지역에 정박한 이후 유증상자가 급증했으며 정박 당시 외부인 또는 물품과 접촉한 부대원 중 일부가 평균 잠복기(5~7일) 내 증상이 발생했다.

또 전장유전체 분석 결과 D지역에서 보고된 바이러스와 동일 계통의 바이러스가 확인된 점에서 볼 때 D지역에서 감염됐을 것으로 조사단은 추정했다.

D지역은 기니만 해역에 인접한 국가로, 청해부대 34진은 이곳에서 군수물자를 적재했다.

다만 구체적인 바이러스 유입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다.

조사단은 “유입경로 및 전파위험요인 규명을 위해 함정 내 CCTV 및 활동기록조사, 부대원 전수에 대한 설문조사 및 초기 유증상자 등 19명에 대한 유선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물품·유류 등의 보급, 폐기물 처리 등의 과정에서의 외부인 접촉 또는 오염된 물품 표면 접촉 등의 유입 가능성이 추정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업무 외 개별적인 외부인 접촉은 없었고, 개인보호구 착용 및 소독 조치는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됐다”며 “정박 시 개인별 활동력과 초기 환자 발생을 분석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활동은 특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조사단은 부대에서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 원인에 대해서는 함정 내 3밀(밀폐, 밀집, 밀접) 환경과 24시간 지속적인 공동생활, 전파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델타형 변이의 유행, 일반감기, 장기간 항해로 인한 피로 등과 구분이 어려운 코로나19의 임상증상으로 인한 환자발생 인지 지연 등을 꼽았다.

이에 조사단은 ▲출항 전 승무원 예방접종 및 검역 ▲정박업무 시 감염관리 강화 및 정박 이후 주기적 검사체계 마련 ▲함정 내 진단검사장비 보완 ▲격리공간 확충 및 동선분리계획 보완 ▲함정 내 확진자 발생 시 육지 후송체계 보완 등의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국방부는 “조사단의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집단감염 발생을 예방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김혜린 동아닷컴 기자 sinnala8@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