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론조사 전문회사 한국갤럽은 지난 12~14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향후 1년간 국내 주가지수 등락 전망에 관해 물은 결과, ‘현재보다 오를 것’ 41%, ‘내릴 것’ 25%, ‘변화 없을 것’ 12%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22%는 의견을 유보했다.
코스피 지수는 지난 7일 종가 기준으로 사상 처음 3000을 돌파한 가운데 지속해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전날 코스피는 3149.93으로 마감했다.
주식 투자자는 30~50대, 사무/관리직과 자영업 종사자,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많은 편이다(상/중상층 42%; 하층 10%). 대부분 응답자 특성에서 주식 투자자 비율이 증가했고, 특히 20대에서 가장 많이 늘었다.
20대 투자자 비율은 지난해 8월 조사에서 12%였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27%로 증가했다.
과거 한국갤럽 조사 기록에 남은 주식 투자자 비율은 1990년 18%, 2000~2006년 10% 내외, 2014년 15%였다. 2020년 8월 처음으로 20%를 넘었으며 이후 불과 5개월 만에 30%에 육박하기에 이르렀다.
현재 주식 투자자 292명에게 지난해 한 해 동안 손익 여부를 물은 결과, 69%가 ‘이익을 봤다’고 답했다. 14%는 ‘손해를 봤다’, 15%는 ‘이익도 손해도 안 봤다’, 그리고 2%는 의견을 유보했다. 1990년부터 2014년까지 여섯 차례 조사에서는 매번 ‘손해 봤다’는 사람이 더 많았는데, 지난해 8월 처음으로 ‘이익 봤다’는 사람이 50%를 차지했고 이번에는 더 늘었다.
갤럽은 “주식 투자자 10명 중 7명이 이익을 기록 중인 것은 코로나19 팬데믹과 풍부한 유동성이 만들어낸 이례적 현상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따.
정치적 성향별 주식 투자자 비율은 보수층 29%, 중도층 36%, 진보층 33%로 큰 차이 없었다. 그러나 향후 1년간 국내 주가지수 전망은 진보층의 경우 상승 46%-하락 23%, 보수층은 상승 41%-하락 33%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전화조사원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 ±3.1%p(95% 신뢰수준)에 응답률은 15%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뉴스1)
[김순덕의 도발]공수처장은 ‘법의 지배’를 말했다
이재영·이다영 ‘학폭’ 폭로 또…“입에 피 머금고 살았다”
국민 과반 “가덕도 특별법은 잘못”…부울경 54%도 부정평가
국민을 위한 정부는 없다[오늘과 내일/홍수용]
“가난해 따돌림 당한 아들…음식 사준 ‘편의점 천사’ 찾아요”
국민 53.6% “가덕도 특별법, 잘못됐다”…PK도 54% ‘잘못된 일’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